"부산 해양관광 활성화 막는 규제 풀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양수도'를 자처하는 부산은 379.82㎞이르는 해안선을 갖고 있지만, 복잡한 법률·제도적 제약은 해양관광 활성화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관광객들로 분주한 부산 남구 오륙도 스카이워크 모습. 부산일보DB

'해양수도'를 자처하는 부산은 가덕도에서 기장에 이르는 379.82㎞ 길이의 장대한 해안선을 갖고 있는데 왜 해양관광은 활성화되지 않을까?

지난 25일 열린 '해양관광진흥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한국해양관광레저연구원 배은주 원장은 몇 가지 이유를 꼽았다. 이 용역은 부산시가 해양관광 활성화 계획을 세우기 위해 지난해 3월 시작한 첫 용역이다.

시 해양관광활성화 용역
"해상 이용에 14개 법률 적용"
행정 관리 사각지대 발생도

"스토리 있는 코스 개발해야"


우선 해상 공간을 이용하는 데 법률·제도적 제약이 지나치게 복잡하다는 점이 지적됐다. 해운법, 유·도선 사업법, 연안관리법 등 14개 법률이 산재하고, 인허가 관청과 등록 관청이 제각각인 경우도 있어 사업자가 일을 진행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또 여객선에 비해 유람선은 영업시간이나 면허 유효기간 등에서 제약이 강한 불평등 구조를 갖고 있고, 전통 항만물류·수산업에 견줘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의 관심도 적다는 점이 꼽혔다. 실제 해양수도를 자처하면서도 부산시의 해양 관광·레저 업무는 문화관광국과 해양수산국으로 분산돼 있다. 해양과 연안 활동의 상호작용이 원활할 때 해양관광이 활성화되는데도 해양공간은 해수부, 연안 육지는 지방자치단체가 나눠 관리함으로써 행정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무역항 부산을 오가는 대형 선박 때문에 유람선이 다닐 수 없는 항로가 많다는 점도 약점으로 꼽혔다. 도심 접근성이 좋은 연안 해역과 공유 수면 상당수가 항만물류·수산업에 선점돼 해양관광 인프라를 만들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또 기존 유람선의 경우 선착장 주변을 잇는 관광자원 발굴이 부족하고, 터미널 경관이나 선박 디자인, 선내 프로그램 등에서 독창성과 매력도가 떨어진다고 지적됐다.

자문위원단은 해양관광에 지역 스토리를 입혀 잊을 수 없는 추억 거리를 만들어 주고, 해양 레포츠 저변을 넓혀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재용 한국해양대 해양체육학과 교수는 "부산에서 동호인이 가장 많은 해양 레포츠 종목은 스킨 스쿠버인데 영도 감지해변이 성지로 각광받고 있다"며 "시민들이 실제 어떤 해양 레포츠를 즐기는지 면밀히 조사해보고 그들의 수요에 맞는 정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철우 영산대 해양레저관광학과 교수는 "인도양과 대서양의 경계인 남아프리카 희망봉에 올라 새로운 각오를 다진다는 사람도 많은데 동해와 남해의 경계인 오륙도를 알리는 식으로 고유의 스토리와 연결되는 관광코스를 개발하는 노력이 아직은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송삼종 부산시 해양수산국장은 "지금까지 정책을 세우는 관점이 육지 중심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중, 수상, 연안 등 공간별로 관점을 다양하게 바꿔보고, 수요자 중심 정책으로 철저히 바꿀 필요가 있다"며 "동호인 가족 연인 유소년 등 관광객의 특성에 따라, 또는 미식 레포츠 축제 등 관광 목적에 따라 세분화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