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 해수담수 ‘전량 공업용수’로… 정상화 물길 찾았다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수담수화 정수센터 전경. 해수담수화 정수센터 전경.

부산시가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산한 담수를 공업용수로 공급하는 시설 정상화 방안을 도출해 주민과의 갈등도 종지부를 찍을지 주목된다. 시는 구체적으로 해수담수화 시설의 하루 생산용량 4만 5000t에 맞춰 ‘맞춤형 공업용수’를 고리원자력발전소와 울산의 공단까지 하루 4만t 이상 보내겠다는 복안인데, 생산 단가를 낮춰야만 하는 숙제는 여전한 상태다.

市, 이번 주 수공·두산과 MOU

고리원전 1만t·울산공단 3만t 등

100% 공업용수로만 공급하기로

10여 년 논란 끝에 정상화 해법

관련 물산업 연구·개발 기반 기대

17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중공업과 이번 주 중으로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 정상화를 위한 협약(MOU)’을 체결한다. 협약의 구체적인 내용은 광역상수도사업자인 수자원공사와 시설을 만든 두산이 운영사가 돼 시설에서 생산한 공업용수를 하루에 고리원전 냉각수로 1만t, 울산 온산공단에 3만t을 각각 공급한다는 것.

시는 지방상수도사업만 할 수 있기 때문에 울산에 물을 공급할 수 없다. 이에 수자원공사를 운영사로 참여시켜 울산까지 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수요처를 발굴한 셈이다. 대신 수자원공사가 온산공단까지 연결할 광역상수도 관로를 건설하는데 1000억 원이 추가로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공업용수 공급을 수차례 시도했으나 생산 비용이 비싸다는 게 걸림돌이 됐다. 시설에서 최대 4만 5000t까지 생산하면 t당 가격이 1130원으로, 울산지역 화학공장이 사용하는 상수도 공업용수보다는 조금 비싼 게 현실이다. 시는 다만 해수담수화 시설 운영비의 절반에 달하는 전기료 감면이 이뤄진다면 생산 비용을 더 낮출 수 있다고 판단, 산업통상자원부와 이 부분을 협의하고 있다.

해수담수화 시설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면 해당 분야의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단지 기능이 집적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시설장비 개선 연구를 통해 국내 물산업의 획기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활발한 해외진출까지 도모할 수 있어 ‘1석 2조’라는 평가가 나온다.

애초 시는 2015년부터 해수담수화 시설을 통해 기장군 정관읍·장안읍 일대에 수돗물을 공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해당 시설이 고리원전에서 불과 11㎞ 떨어져 있다는 이유로 주민들이 ‘삼중수소’ 등 방사능 물질이 함유된 물을 마실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이자 공급 논의가 중단된 상태였다. 급기야 지난해 1월에는 두산이 철수하면서 가동 중단 사태까지 벌어져 ‘2000억 원 혈세 낭비’라는 비난까지 일었다.

부산시 관계자는 “수자원공사와 두산중공업이 공동운영사이기 때문에 적자가 발생하더라도 시비로 적자분을 보전하지 않아도 되고, 관련 기술이나 장비가 개선된다면 생산 단가가 더 떨어질 수도 있다”면서 “이번에 추진 중인 협약은 그동안 주민들의 불안 문제 등에 대해 소통하지 않고 사업을 진행하려 했던 부분을 반면교사 삼아 새로운 해법을 찾아 나선 결과”라고 강조했다.

황석하·이승훈 기자 hsh03@busan.com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