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원전해체산업’ 안전 해체 기술·인력 확보 절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원전해체연구소가 들어설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전 일대. 부산일보DB 원전해체연구소가 들어설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전 일대. 부산일보DB

원전 해체산업의 구심적 역할을 할 ‘원전 해체연구소’가 첫발을 뗐지만 550조 원 규모에 달하는 세계 원전 해체산업을 선점하기 위한 과제가 산적하다.

정부는 15일 부산·울산 경계 일원인 고리원전 내에 원전해체연구소(경수로), 경북 경주시 감포읍 일원에 중수로해체기술원(중수로)을 2021년 하반기까지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고리원전 내 원전해체연구소

상업용 원전 해체 경험 전무

2030년까지 12기 해체 계획

산업 초기단계 모의시설도 없어

23개 기술 개발·인력 확보 시급

16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국내 산업계는 아직까지 상업용 원전 해체 경험이 없는 초기 단계다. 2022년부터 본격화할 국내 원전 해체 시장(총 30기 기준 22조 5000억 원 추산)과 더불어 2050년까지 44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 대비한 기술력 확보와 전문인력 양성, 기반 구축 등이 시급하다.

우선, 정부는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총 12기의 원전 해체를 계획하고 있고, 이를 위해 약 4383명의 전담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지만 원전 해체 분야 전문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와 한수원은 고리 1호기 해체를 위한 직접투입 인력을 900명(한수원 400명, 기타 업체 500명) 정도로 예상하지만 현재 한수원·한전KPS를 포함한 공공기관 해체 전담인력은 250여 명 수준에 불과하다.

기존 원전 분야 중소기업의 경우 원전 해체 분야에 관심은 많지만 사업 물량이 가시화하지 않은 상황에서 선제적 투자 확대는 자칫 리스크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와 기업지원 창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원전 해체 전문기업 육성 등 초기 산업생태계를 제도적으로 구축하는 방안도 시급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발된 원전 해체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위한 모의시설 (Mockup·원자로 모형)도 없다.

원전 해체기술이 자립하려면 96개의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는 96개 기술 중 현재까지 73개 기술 개발을 완료했고, 아직 23개 기술이 남은 상태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우리나라 원전 해체기술은 선진국 대비 82% 수준으로, 기술력 확보도 중요하지만 실증적으로 (원전 해체 작업을)해 봤느냐가 매우 중요하다”며 “초창기에는 국제협력을 통해 미국 등 관련 기술을 받는 게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전기업의 초기 일감 창출도 중요하다. 정부가 경수로와 중수로를 분리해 사실상 원전 해체연구소를 2곳에 설립하기로 함에 따라 한수원과 부산·울산·경북(경주) 지자체 간의 긴밀한 협력과 소통도 중요하다.

한편, 부산시는 원전 해체산업 활성화를 위해 부산상의, 부산테크노파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동남지역본부, 한국기계연구원, 부산대 등 부산지역 유관기관과 원전 해체산업 육성 세미나, 워크숍 등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송현수 기자 songh@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