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MASS 도입 기술 컨퍼런스 “자율운항, 무인화보다 인간 돕는 기술로”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과 표준 제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공감대는 이뤄졌지만 해운업계는 전면 무인화에는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사진은 시험운항 중인 무인선박. 부산일보DB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과 표준 제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공감대는 이뤄졌지만 해운업계는 전면 무인화에는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사진은 시험운항 중인 무인선박. 부산일보DB

선진국에 비해 더딘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을 서두르고, 국제 표준 제정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이뤄졌다. 해운업계에선 자율운항의 목표를 무인화보다는 인간의 판단을 돕는 요소기술 개발로 삼아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내놨다.

해운업계 “인건비 절감 효과 적어”

“기술 개발 선진국 비해 더딘 편

3차 해상수송혁명 맞아 서둘러야”

국제표준 제정 선도적 활동 중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과 해양수산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지난 25~26일 부산 해운대그랜드호텔에서 제2차 자율운항선박(MASS) 도입 기술정책 컨퍼런스를 열었다. 이 분야에 관련된 산·학·연·관 전문가 40여 명이 발제와 토론에 대거 나서 MASS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각각 하루 2~3개 세션씩 발제와 방청석 질의 응답을 진행한 뒤 7~9명씩 전문가들이 한꺼번에 나와 종합토론을 벌이는 형태로 컨퍼런스는 진행됐다.

두 차례 종합토론에서 김영모 한국선장포럼 사무총장은 MASS가 1787년 증기선 운항(1차), 1956년 컨테이너 수송(2차)에 이은 3차 해상 수송혁명이라고 진단하고, 해운 선진국인 유럽과 미국, 일본, 중국 등에 비해 우리나라의 MASS 개발이 한 발 늦었다고 지적했다. 김 총장은 정부 차원의 과감한 기술 개발 투자, 전문 기관 간 협력, 규제 장벽 혁파,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제안했다. 황진회 KMI 해운해사연구본부장은 유럽연합(EU)이 무인 상선 운영을 위한 기술 개발과 기술·경제적, 법적 타당성을 평가했다며 그 결과를 소개했다. MUNNIN프로젝트로 명명된 이 연구 결과 MASS가 기존 유인 선박에 비해 25년간 총 700만 달러 높은 가치를 실현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무인 선박 충돌·좌초 시나리오를 운영 테스트해 본 결과 충돌·좌초 위험이 유인선의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고 유지보수·모니터링 계획을 개선하면 무인선 엔진시스템 고장 위험도도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박한선 KMI 해사안전연구실장은 국제해사기구(IMO)가 이미 올해 5월 제101차 해사안전위원회(MSC)에서 MASS 임시 시운전 지침을 승인했으며, 내년 102차 회의에서 새로 제정하거나 개정할 국제해사협약 규정에 어떤 것이 있는지 검토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유럽과 일본, 중국 등의 MASS 개발 속도에 발맞추기 위한 조치다. 박 실장은 기술 개발도 서둘러야 하지만 선도적인 국제표준 제정 활동 참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해운업계는 이런 기술개발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신중한 입장을 내놨다.

현대상선 최종철 상무는 해운업계가 장기적으로는 무인 선박 시대가 오겠지만 향후 10년 내로는 어려울 것으로 보며, 무인화보다는 인간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항을 돕는 각 부문별 요소기술 개발에 방점을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 자동화가 높은 수준으로 진행돼 승선 인원이 대폭 줄었고 제3국 저임금 선원 비중도 높기 때문에 무인선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데 필요한 엄청난 투자비에 비해 인건비 절감 효과는 그리 크지 않으며, 사고 발생 이후의 책임이 전적으로 해운 기업에 전가될 우려도 제기했다. 최 상무는 “MASS의 최종 목적이 무인선이 돼서는 안 되고, 새로운 기술이 사람의 의사결정을 돕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MASS 자체보다는 기반이 되는 센서, 모니터링, 제어·분석 기술 등 요소기술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