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해양박물관은 '전액 국비'…해양박물관도 인천에 밀리는 ‘해양수도 부산’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12년 7월 개관 이후 지난해 말 기준 누적관람객 759만 명(연평균 108만 명)을 기록한 국립해양박물관 전경. 부산일보DB 2012년 7월 개관 이후 지난해 말 기준 누적관람객 759만 명(연평균 108만 명)을 기록한 국립해양박물관 전경. 부산일보DB

전국 유일의 부산 국립해양박물관이 파격적인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2024년 개관하는 국립인천해양박물관에 주도권을 넘겨줄 위기에 처했다.

12일 해양수산부와 국립해양박물관에 따르면 해수부는 오는 2024년 개관을 목표로 전액 국비사업인 총사업비 1081억 원 규모의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을 인천 중구 월미도 갑문매립지에 건립한다. 해양역사·문화를 종합적으로 전시·교육·체험할 수 있는 해양박물관을 건립해 수도권 해양문화 확산 거점을 마련하겠다는 것이 정부 취지다.


2024년 개관 인천 해양박물관

‘금수저’ 1081억 원 전액 국비


BTL ‘흙수저’ 부산 해양박물관

공간 확대 등 지원 시급하지만

국비시설 건립 요청 2년째 ‘퇴짜’


문제는 전액 국비 인천해양박물관 건립이 추진되면서 국내 처음이자 유일한 부산 영도구 국립해양박물관의 위상이 추락할 개연성이 커지고 있다는 데 있다.

가장 큰 원인은 사업비 조달 방식 차이에서 오는 구조적인 격차다. 인천해양박물관은 사업비 전액 국비를 지원받아 풍부한 문화 인프라와의 연계, 거대한 수도권 배후인구를 무기로 급성장이 예상된다. 반면 부산 국립해양박물관은 독점적 유일 해양박물관 위상이 깨지는 데다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이라는 족쇄가 걸림돌이다. 국립해양박물관은 민간시행자 해양문화㈜에 2032년까지 매년 62억 원 상당을 지급해야 한다. 재정 여력이 부족해 독자적인 대규모 전시 프로그램 기획과 전시물 교체 주기 단축 등에 한계가 있다. ‘해양수도 부산’은 빛 좋은 허울일 뿐, 해양 주도권을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에 넘겨줄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다.

이 때문에 2012년 7월 개관한 국립해양박물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인센티브와 운영체제 개선 등 정부 차원 지원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립해양박물관 스스로도 교육기회 확대와 수장고 확보를 위해 국비 300억 원이 투입되는 ‘해양미래관’ 건립을 정부에 건의했지만, 기획재정부는 2년 연속 퇴짜를 놨다. ‘연간 24개 프로그램에 2만 9756명’(2018년 기준)이라는 교육 성과를 보인 이 박물관 강의 공간은 컨퍼런스홀(132㎡)과 다목적강당(665㎡)을 합쳐 모두 797㎡(연면적의 3.1%)로, 전국 국립박물관 평균 10%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박물관 수장고는 9개로 공간이 나뉘어 선박 등 대형 자료 수장이 어렵다.

전시·홍보·교육 등 해양문화㈜가 보유한 콘텐츠 운영권 조기회수도 필요하다. 현재 실시협약에 따라 국립해양박물관은 ‘기획’, 민간 운영사는 ‘실행’을 나눠 맡는 이원화 체제로 운영돼 업무 효율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 집행업무 계약을 조기에 회수해 기획과 실행을 국립해양박물관이 총괄하는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 해양문화계 관계자는 “박물관 민자 유치의 허상이 꾸준히 지적되는 만큼 지금이라도 정부가 개선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