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션 뷰] 해양수산인 ‘결속’에 답 있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백현충 해양산업국장·한국해양산업협회 사무총장

한국해양산업협회 주관의 해양수산인 신년 인사회가 지난 15일 부산에서 열렸다. 기업인과 단체장, 기관장, 국회의원 등 250여 명이 참석해 소통하고 협력을 다짐했다. 이날 대주제는 ‘부산 해양력 비전’. 부산 해양수산인들이 결속하고 힘을 합쳐서 대한민국 해양산업을 이끌어가자는 결의였다. 참가자들은 “부산의 힘”이라는 선창에 “해양력”이라고 화답했고, “대한민국의 힘”이라는 선창에도 역시 “해양력”이라고 답을 하면서 국가 명운이 해양산업 발전 여부에 달렸다는 사실을 각인했다.

해양협 주관 신년인사회 ‘성료’

소통과 협력의 계기 마련 ‘의미’

‘해양 100분 토론’선 기업인 절규

해양수산인 힘 과시할 ‘세력화’를

해양수산인의 신년 인사회가 부산에서 처음 열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ICT 첨단기술을 덧입혀 진행한 이번 행사는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해양수산인의 관심을 끌어내고 자신감을 갖는 ‘동력’이 됐다. 유명인사 특강이나 특별 공연도 없었지만 참석자들은 행사가 끝날 때까지 굳건히 자리를 지킴으로써 소통에 얼마나 목말라 했는지를 스스로 짐작케 했다.

부산 경제는 요즘 참 힘들다. 지역 주력산업인 해양수산업이 뒷받침하지 못하니 더욱 그렇다. 해운업계는 황산화물 규제와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등 이중삼중의 타격을 받고 있고, 수산업계는 수산자원 감소와 한일어업협정 불발에 따른 어선 감척을 강요받고 있다. 세계 1위의 위상을 지키고 있다는 조선업계도 위태롭기는 마찬가지란다. 부산·경남에 집중된 조선기자재 업계의 경영 사정은 더욱 심각하다. 몇몇 기업을 제외하면 가격과 기술에서 국제 경쟁력을 잃은 지 오래라는 지적이 높다.

한국해양산업협회는 앞서 지난해 12월 ‘해양수산 기업인 100분 토론’을 가졌다. 정책에 당장 반영을 할 수 없다고 해도 기업인의 속마음이라도 열어보자는 취지에서 마련했다. 바쁜 와중에도 100명 이상의 기업인이 패널과 청중으로 참가했다. 참석자 중 한 기업인은 “하도 답답해서 왔다”면서 “그동안 내 탓만 했는데 토론에서 남 탓을 해보면 속이라도 풀릴 것 같았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은 정부 성토장에 다름이 아니었다. 하지만 해양수산청장은 “정리해서 해양수산부에 보고를 하겠다”는 원론만 반복했다.

환경과 안전 규제만 해도 그랬다. 기업 책임도, 비용 부담도 다 받아들일 수 있지만 정부 정책을 곧이곧대로 따르기에는 일방적인 측면이 너무 많다고 업계는 지적했다. ‘혁신’도 도마 위에 올랐다. 관련 예산은 죄다 대기업에 몰아주면서 규제는 중소기업이 더 많이 받는 ‘불온한’ 구조를 너나없이 비판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부의 대응도 논란거리였다. 보안과 안전을 이유로 부산항에선 실험조차 못 하게 하면 블록체인과 해양 드론 개발은 어떻게 성과를 낼 수 있느냐고 하소연했다. 보안과 안전, 혁신이 공존 키워드라는 인식을 정부만 못하는 듯했다.

한국해양산업협회는 부산 해양수산인을 중심으로 지난 2006년 결성됐다. 그동안 세계해양포럼과 대한민국 해양인의 밤, 해양산업 르네상스 등을 통해서 해양수산인의 결속과 협력도 이끌어 왔다. 신년 인사회와 100분 토론은 그런 결속의 연장선상에 있다. 100분 토론에서 기업인 목소리를 절절히 담아냈고 신년 인사회를 통해서 해양수산인의 힘을 과시하는 동력을 제공했다.

그러나 토론과 이 같은 과시가 곧바로 성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의견이 정책이 되고, 그것이 시장에 영향을 줄 때 모든 과정은 의미를 지닐 수 있다. 토론에서 도출된 내용이 정부와 국회에 전달되고 심의될 수 있도록 해양수산인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해운, 수산, 항만, 조선이라는 ‘스몰 텐트’로 각자도생을 하기보다는 이제 ‘빅 텐트’로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 지혜가 절실하다. 4월 총선은 그런 점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다. 새로운 10년을 시작하는 2020년, 그 모든 변화의 키워드가 해양수산인 모두의 ‘결속과 협력’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

choo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