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 부동자금 1100조 원, 증시·부동산에 몰리나

이주환 선임기자 jhwa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부동자금이 시중에 1100조 원이 넘게 떠다니면서 실물경제와 괴리된 과열 증시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29일 거래 종료 직후 시중은행 딜링룸(위) 모습과 한국조폐공사 화폐본부의 지폐 검수 장면. 부산일보DB·연합뉴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부동자금이 시중에 1100조 원이 넘게 떠다니면서 실물경제와 괴리된 과열 증시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29일 거래 종료 직후 시중은행 딜링룸(위) 모습과 한국조폐공사 화폐본부의 지폐 검수 장면. 부산일보DB·연합뉴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부동자금이 처음으로 1100조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사태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금리가 떨어지자 부동자금 증가 속도는 점차 빨라지는 양상이다. 이처럼 갈곳을 잃고 시중에 흘러넘치는 돈은 결국 투자 대안으로 증시나 부동산으로 흘러 들어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31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머니마켓펀드(MMF),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등 부동자금의 규모는 올 3월 말 현재 1106조 3380억 원으로 집계됐다.


3월까지 5개월 연속 불어나

2월 47조 늘어 통계 이래 최대


한은 기준금리 0.5% 사상 최저

금융상품 수익률 하락이 영향

주식·부동산 흘러들 가능성↑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일 뿐 아니라 지난해 11월(1010조 7030억 원) 1000조 원을 넘어선 뒤 3월까지 5개월 연속으로 매달 불어나는 모양새다.

금리 인하와 함께 부동자금의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증가폭이 지난해 11월(32조 7000억 원 증가)과 12월(34조 8000억 원 증가) 30조 원대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올해 2월에는 47조 원으로 커졌다. 한 달 증가폭이 40조 원을 넘은 것은 통계 집계 이래 최초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전후해 시장금리가 낮아지고 채권을 뺀 금융상품의 수익률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면서 자금이 시중을 떠도는 현상이 심해진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이미 1% 남짓에 불과하다. 한은이 집계한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통계를 보면 은행권의 잔액 기준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해 3월(2.02%) 이후 꾸준히 내려 지난달(1.57%)에는 1.5%대로 내려앉았다.

더구나 지난달 28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0.75%→0.5%)로 유동성은 더 풍부해지고, 시중 자금이 증시나 부동산으로 흐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자본시장연구원 황세운 연구위원은 “부동자금은 어디론가 자산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며 “부동산 시장은 규제가 굉장히 강해져 한동안은 부동산 시장보다는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흘러갈 가능성이 더 크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최근 코스피가 2000선 고지를 되찾으면서 증시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투자자가 주식을 사려고 증권사에 맡겨 놨거나 주식을 판 뒤 찾지 않은 돈인 투자자예탁금은 이달 28일 현재 44조 5794억 원으로,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전인 지난해 말(27조 3384억 원)보다 63.1%나 급증했다.

개인 투자자들이 빚을 내 주식을 사들인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지난달 18일(10조 783억 원)에 이르러 3월 이후 두 달여 만에 10조 원대로 올라섰다. 통상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개인 투자자가 많아지면 신용융자 잔고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황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계속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들어오는데, 한동안은 저가 매수 기회를 활용한다는 측면도 있었지만 갈 곳 없는 유동성이 유입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향후 가격 조정 조짐이 보이면 부동산 시장에도 언제라도 돈이 흘러들 수 있는 상황이다. 우리은행 양재남금융센터 조현수 PB팀장은 “저금리 시대 부동산 투자가 대안일 수 있지만, 현재 부동산은 하락 사이클에 있다고 본다”며 “무엇보다 너무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른 데다, 코로나19 사태로 실물경기가 더 나빠지면 실업·소득 감소와 함께 부동산 가격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 팀장은 “다만, 앞으로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소식과 함께 경기와 물가가 회복될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면, 부동산 투자를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주환 선임기자 jhwan@busan.com


이주환 선임기자 jhwa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