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부산항을 개방형 항만으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정수 JW해운(주) 고문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자칫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다. 이같은 시기에 물류의 대동맥인 항만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부산항에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제강점기와 냉전 체제, 그리고 군사독재를 지나오는 동안 부산항은 화물선적을 제외하고 폐쇄형 항만으로 운영됐다. 정부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간경영기법을 도입하고자 항만공사 제도를 도입했지만, 조직의 이익과 법률상의 한계 때문에 제도의 취지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대와 현재의 부산항을 비교하면 반 이상이 육지로 변했을 정도로 항만을 축소시키고 있다. 부산은 항만으로 발전을 이루어온 명실상부한 우리나라의 해양수도임에도 불구하고 항만의 가치에 대해서는 과소평가하고 있다. 항만은 국가발전과 더불어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야만 한다. 만약에 남북통일이 된다면 항만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다. 부산항으로서는 컨테이너 전문인 신항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북항의 이용가치를 높여야만 한다. 하지만 현재 북항의 상황을 보면 자성대부두와 양곡부두, 소형선 계류장의 폐쇄가 진행되고 있다.

부산항은 개방형 항만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부산항을 관리·운영하고 있는 부산항만공사(BPA)가 실적에만 연연할 경우 부산항은 무조건 쇠퇴할 수밖에 없다. 필자는 부산항이 개방형 항만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선, 부산항은 언제라도 선박의 급유가 가능해야 한다. 현재 부산항은 날씨가 나쁘면 연료유 보급이 3~4일 늦어지고 있다. 연료유 저장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타 항만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울산이나 여수에서 급유용 선박이 오기 때문에 적시에 급유를 받지 못하고 있다.

선박의 매매도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선박을 매각하고 싶어도 부산항의 정박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부산항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선박 매매를 위해 입항한 선박은 무료로 장기 정박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선박 검사와 선박 수리를 위한 부두 접안도 용이해야 한다. 하지만 부산은 접안 부두가 없어 수없이 이동해야 하는 처지다. 글로벌 항만 대부분이 선박 수리 장소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부산항은 수리 부두가 없다. 외항에서라도 선박수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하지만 이것도 여의치가 않다.

선용품 부두도 확보해야 한다. 지금은 부산에서 중량물 선적이 힘들어 대부분 미국이나 중국, 싱가포르로 보낸다. 기자재 및 선용품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이 시장을 개척하기가 쉽지 않다. 자성대부두를 개발하지 말고 선용품이나 조선기자재 납품부두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그리고 해외선주 및 선박관리회사를 부산으로 유치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주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최소한 국내 선주 소유이거나 국내에서 건조한 선박에 대해대기·수리·검사·매매를 위한 장기 무료 정박을 무조건 허용해야 부산항이 성장할 수 있다. 부산항은 고객을 확보해야 생존할 수 있다. 부산항이 개방형 항만으로 가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