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거제·고성 일대 굴 양식업계 “노로 때문에 노이로제 걸릴 판”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코로나19 악재에도 소비가 살아나면서 모처럼 신바람을 내던 남해안 굴 양식업계가 때 이른 노로바이러스 검출 소식에 시름에 빠졌다. 특히 연중 최대 성수기로 꼽는 김장철에 바이러스 문제가 불거져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악재에도 소비가 살아나면서 모처럼 신바람을 내던 남해안 굴 양식업계가 때 이른 노로바이러스 검출 소식에 시름에 빠졌다. 특히 연중 최대 성수기로 꼽는 김장철에 바이러스 문제가 불거져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말만 들어도 노이로제 걸릴 판입니다.”

코로나19 악재에도 소비가 살아나면서 모처럼 신바람을 내던 남해안 굴 양식업계가 때 이른 노로바이러스 검출 소식에 시름에 빠졌다. 자칫 ‘노로 악몽’이 되풀이될 공산이 큰 데다, 연중 최대 성수기로 꼽는 김장철에 바이러스 문제가 불거지면서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이미 온라인 소매점을 중심으로 주문량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등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국내 최대 생굴 산지인 경남 통영과 거제, 고성지역 일부 해역에서 생산된 생굴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

노로바이러스는 겨울에 유행하는 식중독(장염) 원인균 중 하나다. 섭씨 85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사멸하지만, 날 것으로 먹는 생굴은 감염에 취약하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 검출 소식이 뜨면 소비는 급감하고, 업계는 직격탄을 맞는다.


때 이른 바이러스 검출 소식에

주말 주문량 3분의1 토막

“최대 성수기 김장철에 날벼락”


실제로 해수부 발표 후 언론 보도가 잇따르면서 주말 동안 주문량이 크게 줄었다. 생굴을 소포장해 납품하는 가공업체 관계자는 “지난주와 비교하면 3분의 1 이상 감소했다. 주문 취소도 많고, ‘먹어도 되냐, 탈 나면 어쩌냐’는 문의도 계속 오고 있다”면서 “코로나19로 가뜩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거부감이 커진 탓에 더 민감한 듯하다”고 전했다.

특히 지금이 김장철이어서 고민이 더 깊다. 남해안 굴 양식업계는 매년 10월 초매식을 기점으로 이듬해 6월까지, 약 8개월 동안 생굴을 생산한다. 이 기간에 수도권 김장이 시작되는 11월 중순부터 남부 지방 김장이 마무리되는 12월 중순을 연중 최대 성수기로 꼽는다. 김치의 감칠맛을 내는 필수 재료가 굴이어서 소비가 급증하기 때문이다.

국내 최대 생굴 산지인 경남 통영의 한 생굴 작업장에서 출하 작업이 한창이다. 새벽에 채취해 온 굴 껍데기를 벗겨내자 뽀얀 굴 속살이 모습을 드러낸다. 국내 최대 생굴 산지인 경남 통영의 한 생굴 작업장에서 출하 작업이 한창이다. 새벽에 채취해 온 굴 껍데기를 벗겨내자 뽀얀 굴 속살이 모습을 드러낸다.

반면 굴 노로바이러스는 이르면 12월 말, 보통은 추위가 절정인 1~3월 발생한다. 그런데 올해는 한 달 이상 일찍 출현해 하필 김장 특수와 겹쳤다. 업계 관계자는 “김장 수요로 (생굴 10kg들이 1상자) 평균 경매가격이 평균 15만 원을 훌쩍 넘기고 있다. 가뜩이나 값이 올라 부담스러운 상황에 아예 외면받는 건 아닌지 걱정”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양식업계는 일단 소비자 불안 해소와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27일부터 남해안 전역에서 생산되는 생굴 전량을 ‘가열조리용’과 ‘생식용’으로 구분해 유통하고 있다. 굴수협 관계자는 “생산 해역을 기준으로 채취 단계부터 용도를 구분하고 공판장 경매도 분리해 진행하고 있다”면서 “가열조리용 표시가 된 제품은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해수부는 전국의 굴 주요 생산 해역을 대상으로 상시 모니터링을 하고, 관할 지자체 등과 협력해 육상오염원 관리를 강화하는 등 생산 단계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보다 명확한 기준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맘때 유행하는 마비성 패류독소의 경우, 허용 기준치를 두고 그 이상이 나오면 채취금지 명령과 함께 구체적인 발생 해역 정보를 포함해 소비자 경보가 발령된다. 반면 노로바이러스는 아직 허용 기준치가 설정돼 있지 않고, 단순히 검출 여부로만 따진다. 설령 검출돼도 결과 발표는 의무사항이 아니다. 이 때문에 부정확한 정보가 언론을 통해 확대 재생산된다는 게 어민들 생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검출량이 극미량이라는 이유로 전파하지 않아 ‘알고도 쉬쉬했다’는 비난을 자초하기도 했다”면서 “인체에 유해한 기준을 정하고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면 소비자의 막연한 불안감도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