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부울경 소멸위험지수 전국서 가장 악화”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지방소멸 대응 태스크포스(TF) 출범식에서 염태영, 송재호 공동단장을 비롯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지방소멸 대응 태스크포스(TF) 출범식에서 염태영, 송재호 공동단장을 비롯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울산·경남(부울경) 지역의 인구소멸위험지수가 지난 5년 새 비수도권 광역시·도 중 가장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방소멸대응TF로 활동하고 있는 김두관 의원이 24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경남의 인구소멸위험지수(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수치)는 2015년 0.898로 ‘주의’ 단계였으나 올해 5월에는 0.652로 급락(-0.247)하며 소멸위험 진입 단계를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도(-0.337)를 제외한 강원도(-0.160), 충북(-0.192), 충남(-0.158), 전북(-0.151), 전남(-0.1), 경북(-0.176), 제주(-0.135) 등 비수도권 8개 지역 가운데 가장 악화된 수치다.

인구소멸지수가 0.5에서 1.0미만이면 ‘주의’ 단계이며 0.2에서 0.5 미만이면 소멸위험 진입 단계로 분류한다.

같은 기간 울산도 1.564에서 1.002로 떨어지며 전체 광역시 가운데 지수가 가장 악화됐다.

부산시도 이 기간 0.924에서 0.653으로 하락하며 소멸위험단계로의 진입을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도내 소멸위험 구간(주의·소멸위험 진입 단계)에 진입한 시·군은 2015년 10곳에서 2020년 12곳으로 크게 늘어나지는 않았지만 5년 전에는 소멸위험지수 0.2 미만인 소멸고위험지역이 하나도 없었던 반면 2020년에는 소멸고위험지역이 5곳(합천, 남해, 산청, 의령, 하동)으로 늘어났다.

부산의 경우 위험 구간에 위치한 구·군이 2015년 12곳에서 올해는 강서구를 제외한 15곳 모두가 포함됐다. 특히 영도구(0.349), 중구(0.439), 동구(0.444), 서구(0.462) 등 4곳은 소멸위험 진입 단계에 이른 것으로 확인돼 부산도 지방소멸 위험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228개 시군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이 100곳을 넘었다”며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수준의 균형발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