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직 6만 9000명 줄고 일용직 1만 2000명 늘었다

김종열 기자 bell10@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코로나 직격탄’] 증발한 좋은 일자리

코로나19의 확산 여파로 부산 지역의 일자리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1년간 전체 일자리 감소세가 전국에 비해 3배 이상이나 가파르다. 더욱 큰 문제는 좋은 일자리는 크게 줄어든 반면, 단기성 일자리는 급증했다는 점이다.


부산 일자리 ‘코로나 취약’ 드러나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 10% 줄어

청년·여성 취업자 수 크게 감소


■상근직은 줄고 일용직은 늘고


부산의 일자리가 코로나19로 인해 지난 1년동안 매우 나빠졌다. 월급을 받던 근로자는 많이 줄었는데 이들이 일부 자영업으로 진출하면서 자영업 일자리는 늘어났다. 부산 취업자들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8.0시간으로 1년 전보다 2.8시간이나 줄었다. 일시휴직자는 308.9%가 늘었다.

동남지방통계청이 13일 발표한 ‘부산 고용동향’에 따르면 12월 기준 부산의 취업자는 163만 5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 9000명이 감소했다. 코로나19로 많은 사람이 직업을 잃어버린 것이다. 일자리가 줄어든 것보다 더 문제는 ‘괜찮은 일자리’가 더 많이 감소했다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용임금근로자는 6만 9000명이 줄고 대신 일용직은 1만 2000명이 증가했다. 취업 시간별로 살펴보면 상황이 더 나쁜 것을 알 수 있다. 주당 1~17시간 일하는 근로자는 1만 7000명(14.1%)이 늘고 18~35시간 근로자는 2만 1000명(9.9%)이 증가했다.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상당수가 단기성 취업이나 비영속성 일자리로 판단된다. 대신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는 13만 6000명(10.2%)이 감소했다.

일시휴직자는 4만 9000명이나 증가했는데 이는 308.9%가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취업자로 분류되기 때문에 취업자 감소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경제의 근간이 될 수 있는 제조업에서 8000명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도 뼈아픈 부분이다.

또 지난해 연간기준으로 부산의 취업자 수 감소율은 2.1%로, 전국 통계(-0.8%)보다 감소세가 더 높아 코로나19의 타격이 부산에는 더 큰 것을 증명했다.


■부산 일자리는 코로나 무방비, 왜?


한국은행 부산본부가 13일 발표한 ‘코로나19와 부산경제’ 보고서 백서는 코로나19의 확산이 유독 부산의 일자리에 치명적이라고 분석한다. 이유인 즉, 코로나19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직업군의 비중이 타 지역에 비해 크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비필수업종과 비재택업종을 ‘코로나19 취약 일자리’로 규정했다. 숙박·음식업 등 비필수업종은 경제형편이 어려울 때 우선적으로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있다. 또 재택근무가 불가한 운송·판매업 등은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로 근로시간 단축이나 실업 위험이 크다고 봤다. 부산의 경우 이러한 ‘코로나19 취약 일자리’가 60만 1000개(2019년 기준)로, 전체 일자리 중 35.3%를 차지한다. 이 같은 수치는 16개 시·도 중 울산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치다.

특히 부산은 취약 일자리 종사자가 타 지역에 비해 연령·성별로 특정 계층에 치우쳐 있다. 연령별로 볼 때 청년층(15~29세)의 취약 일자리 종사 비중은 44.3%로, 전국(39.0%)에 비해 크게 높았다. 여성 중 취약 일자리에서 일하는 비중은 41.3%로, 남성(30.4%)과의 격차가 10.9%포인트(P)나 됐다. 이는 전국 평균 성별 격차(7.5%P)보다 훨씬 불균형적인 수치다.

코로나19로 취약 일자리가 위축되면서 그 충격은 청년과 여성에게 고스란히 전해졌다. 지난해 2~3분기 중 부산 청년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1.7%가 줄어들어, 전국 수치(-5.0%)보다 2배 이상 가파른 감소세를 보였다. 여성 취업자 수 역시 3.7% 감소해, 전국(-2.0%)보다 훨씬 심각한 취업난을 겪었다.

한국은행은 부산의 높은 취약 일자리 비중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빈부 격차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로 인해 취약 일자리 종사자의 소득이 10% 줄어들 경우, 부산의 1분위(소득수준 4분위 중 가장 저소득 계층) 평균소득이 5.2%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16개 시·도 중 가장 높은 감소율이다. 반면 소득이 가장 높은 4분위의 경우 평균소득 감소율이 0.9%에 불과해, 전국 평균 감소율(1.0%)보다 오히려 낮았다.

김덕준·김종열 기자 casiopea@


김종열 기자 bell1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