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년’의 진실… ‘서울공화국’이 대유행 불렀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많은 눈이 내린 12일 오후 서울 강남역이 인파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많은 눈이 내린 12일 오후 서울 강남역이 인파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 정확히 1년이 지났다. 1년 동안의 확진자 추이를 분석해 보면, 초과밀 도시를 양산한 ‘서울공화국’ 체제가 코로나19 확산과 사태 장기화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히 인구가 많은 것에 비례해 확진자가 늘어나는 것을 넘어, 과도한 밀집 상태와 사회·경제적 인프라 집중에 따른 도시의 복잡성 증가가 시너지 효과를 내며 감염 폭발을 가져온 것이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7만 3115명 중 서울 확진자는 2만 2616명으로 전체의 31%를 차지한다. 부산 2444명의 9배를 넘는 규모다. 반면 지난해 12월 기준 인구 규모 격차는 서울(996만 명)이 부산(339만 명)의 3배에 미치지 못한다. 인구에 비례해 확진자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인구 격차보다 감염률 증가폭이 훨씬 컸던 것이다. 이 때문에 10만 명당 감염자 수를 나타내는 발생률은 서울이 232.35로 부산 71.08의 3배 이상에 달했다. 서울이 그만큼 바이러스 등의 감염병에 취약하다는 뜻이다.


10만 명당 감염자 부산 3배 넘어

인구 과밀, 감염병에 취약 입증

월등한 의료 인프라도 감당 안 돼

인근 수도권까지 감염 확산 초래

코로나 이후 또다른 재앙 반복 우려


서울의 감염병 취약성은 방역망 확충으로 해결되기도 어려운 구조다. 서울은 1000명당 의사 수가 4.4명으로 압도적 1위이고, 국내 상급종합병원 중 31%인 14개를 갖추고 있는 등 의료 인프라가 지역보다 월등하다. 여기에 보건소 수나 인력 등 공공의료 시스템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고,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조 속에서 코로나19 방역에도 국가 자원의 상당 부분이 투입됐다. 월등한 의료 인프라와 견고한 방역망에도 서울은 코로나19에 참패한 셈이다.

방역 전문가들은 감염병에 있어 서울은 근원적인 생태적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공공위생과 의료 서비스 접근성 등에 있어 도시화는 감염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도시의 비대화가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감염병에 위험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구 밀집도가 올라가면 비자발적 접촉이 많아질 수밖에 없으며, 도시의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위기상황 때 방역 당국의 제어가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은 사회·경제적 핵심 자원이 집중돼 있어 비수도권 인구까지 수시로 끌어모으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대유행을 가져온 8·15 집회 등이 빈번하게 벌어졌다.

이런 현상은 미국 뉴욕,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등 전 세계적으로도 관찰된다. 다만 서울 같은 초집중 도시는 세계적으로 유일해, 지역과의 감염병 발생 격차 정도가 큰 차이를 보인다. 서울의 코로나19 취약성은 인천과 경기도에까지 직접적인 감염 확산으로 이어져, 수도권의 누적 확진자는 4만 44675명으로 국내 전체의 61%에 이른다.

서울공화국의 감염병 취약성은 수도권의 방역 문제를 넘어 막대한 국가적 손실을 야기한다. 수도권의 코로나19 확산세는 지역으로 확산됐고, 결국 대유행의 장기화로 막대한 예산 투입과 경제적 충격을 가져다 줬다. 특히 코로나19 이후에도 3~5년 주기로 또 다른 감염병이 유행할 것이라는 게 방역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서울의 초집중화를 해소하지 않으면 수시로 비슷한 재난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산대 예방의학과 김창훈 교수는 “과밀도시가 감염병에 취약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특히 서울은 밀집도가 심하고 집회나 경제활동 등도 집중돼 있다”며 “앞으로도 비슷한 감염병 유행 가능성이 높아 코로나19 종식 뒤에도 긴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