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Name)
e-메일(E-mail)
이름(Name)
e-메일(E-mail)
이름(Name)
e-메일(E-mail)
정식 인수위원회 없이 출발하는 차기 부산 시정(市政)에 대해 ‘기대 반 우려 반’의 시각이 공존한다.
새 부산시장의 임기는 4월 8일 시작된다. 4·7 부산시장 보궐선거 바로 다음 날 새 시장의 임기가 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부산시장직인수위원회’가 가동될 수 없다. 그만큼 부산시장 당선인의 업무 부하량이 늘어나게 된다.
당선과 동시에 바로 업무 시작
인수위 통한 정책 지원 못 받아
시정 운영 청사진 미리 준비를
통상적인 부산시장 선거에선 대규모 시장직인수위가 구성돼 새 시장의 업무 인수인계를 지원한다. 오거돈 전 시장은 2018년 6월 13일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지 이틀만에 인수위원회(위원장 박재호)와 시민소통위원회(위원장 전재수) 구성안을 발표했다. 서병수 전 부산시장도 ‘민선 6기 시장 출범준비위원회’와 ‘취임식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
대통령직인수위와 마찬가지로 부산시장직인수위도 4년간의 시정 운영 방향과 조직 개편, 인재 등용 등 큰 그림을 그려 시장에게 전달한다. 하지만 이번엔 당선과 동시에 업무가 시작되기 때문에 인수위가 구성되지 않는다. 인수위를 통한 인적·정책적 지원을 받기 힘들다는 의미다.
그 대신에 부산시장 보선 후보들은 선거 과정에서 시정운영의 청사진을 구상해 놓아야 한다. 경험이 부족하거나 준비가 안 된 후보들은 고전을 면키 어렵다. 일부 후보 진영에선 ‘섀도 캐비닛(그림자 내각)’ 형태의 인선안을 준비 중이란 얘기도 들린다. 특히 새 부산시장의 임기가 내년 6월 30일까지 1년 2개 월에 불과해 인적개편은 최소화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 현재 부산시장 권한대행을 맡고 있는 이병진 행정부시장은 누가 당선되더라도 현직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광역자치단체의 행정부시장 인사는 정부 몫인데다, 부산 공직사회의 신망이 높고, 임기가 시작된 지 얼마 안 됐기 때문이다. 다만 임기가 만료되는 공공기관장을 비롯해 신임 시장과 호흡을 맞춰야 하는 주요 실·국장은 교체될 확률이 높다. 언론과 각종 사회단체 담당자들도 새 시장과 코드가 맞는 인사가 맡을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새 시장은 취임과 동시에 내년 지방선거를 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최대한 잡음 없이 예측가능한 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한 보선 후보 측 인사는 “인수위 도움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 후보가 4월 8일 첫 기자회견에서 제시할 시정운영 청사진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며 “이만저만 복잡한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권기택 기자 kt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