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도 명품에 15조 쓴 한국인…독일 제치고 7위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사진은 지난해 해외 고가 패션 브랜드인 샤넬이 가격을 인상한다는 소문이 퍼지자 인상 전 제품을 사려는 고객들이 부산 신세계백화점 샤넬 매장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 있는 모습. 부산일보DB 사진은 지난해 해외 고가 패션 브랜드인 샤넬이 가격을 인상한다는 소문이 퍼지자 인상 전 제품을 사려는 고객들이 부산 신세계백화점 샤넬 매장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 있는 모습. 부산일보DB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난해 코로나19로 경기가 많이 어려워진 가운데서도 명품을 15조원 어치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별 순위로 따지면 7위에 이르는 높은 순위다.

특히 최근 들어 MZ세대라 불리는 젊은이들의 명품 소비가 급증하고 있어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명품소비가 갈수록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이들 세대는 명품을 사서 즐기다 다시 되파는 리셀(resell)에 대해 거부감이 없어 명품 소비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17일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방·지갑·쥬얼리·시계 등 명품 매출은 125억 420만달러(14조 9960억원, 지난해 평균환율기준)로 전년의 125억 1730만달러(15조 120억원)와 비슷했다.

지난해 전세계적으로는 명품 매출이 2869억달러로 전년(3544억달러)보다 19%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경기가 나빠진데다 외출을 자제하면서 패션용품에 대한 구매욕구가 좀 줄어든 영향이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1위는 미국으로 839억달러에서 652억달러로 22.3%나 급감했다. 2위는 중국으로 294억달러에서 380억달러로 급증했다.

이들 외 일본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독일은 모두 크게 줄었다.

우리나라는 2019년 명품 매출이 8위였으나 독일을 제치고 7위로 올라섰다. 5~6위인 영국과 이탈리아와의 차이도 크게 좁혀졌다.

우리나라 명품 매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의류(4조 5930억원→4조 5470억원)와 시계(1조 560억원→1조 470억원)는 약간 줄었으나 가방·지갑 등 가죽제품(3조 8450억원→3조 9340억원)과 보석류(2조 3500억원→2조 3620억원)는 늘었다.

특히 샤넬 루이뷔통 구찌 에르메스 크리스찬디올 프라다 페라가모 등 10대 명품 브랜드의 매출은 4조원이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소상공인 등 코로나로 극심한 타격을 입은 계층이 있지만 국내 가구 수의 30%인 600만∼700만 가구의 소득은 오히려 증가했다”면서 “해외여행이 막히자 이들의 보복 소비가 일면서 명품 시장이 뜨겁게 달아올랐다”고 설명했다.

최근의 명품 시장은 MZ세대(1980∼2000년대 초반 출생자)가 주도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 명품 매출에서 20~30대 비중이 각각 10.9%와 39.8%로 50.7%에 달했다. 롯데백화점에서도 2030세대의 명품 매출 비중은 46%에 달한다.

‘샤테크(샤넬+재태크)’라는 말에서 보듯 한정판 명품을 구입해 몇 년 쓰다가 중고시장에 내놓아도 가격이 별로 떨어지지 않거나 어떤 제품은 희소성 때문에 더 비싸지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에게 백화점 문이 열리자마자 매장으로 달려가는 ‘오픈런’은 놀이이면서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유현정 충부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요즘 젊은층은 명품을 접근이 어려운 사치품으로 생각지 않는 것 같다”면서 “몇 달 소비를 하지 않고 돈을 모아서라도 아주 비싼 제품 하나를 사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