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쏠린 경제력…'수도권 1080조-부산 99조' 지역총소득 격차 더 커졌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토연구원 ‘지역 소득격차’보고서

사진은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각 시·도의 경제활력도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인 지역총소득과 종합소득세를 이용한 경제규모 분석에서 부산이 1인당 지역총소득 전국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년간 수도권의 지역총소득이 221% 불어난 데 비해 부산은 143% 늘어나는 데 그쳐 그 격차가 더욱 커졌을 뿐만 아니라 부산의 1인당 지역총소득은 수도권의 73%밖에 안 돼 부산이 과연 전국 2위 도시인지를 의심케 하고 있다. 지역총소득은 기업·가계·정부가 생산하거나 자산으로부터 발생한 부가가치를 말하는 것으로, 시·도 단위의 종합 경제지표다. 종합소득세는 지역의 경제규모가 얼마나 되는지를 말해 준다. 돈을 많이 벌면 소득세도 많이 내기 때문이다.


부산 1인당 지역총소득 2939만 원

서울보다 2000만 원이나 적어

비수도권 지역총소득 비중도 하락

2000년 48.3%→ 2019년 44.4%




■1인당 총소득 인천보다 밀려

국책연구원인 국토연구원이 26일 발표한 ‘지역별 소득격차와 불균형’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총소득은 2000년에서 2019년 사이 수도권이 337조 원에서 1080조 원으로 220.6% 늘어나는 사이 부산은 41조 원에서 99조 원으로 142.9%가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비수도권 전체가 173.5% 늘어났는데 부산은 비수도권 추세에도 못 따라간 것이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기준으로 서울과 경기도의 지역총소득이 각각 475조 원, 509조 원에 달했지만 부산은 99조 원, 대구는 68조 원, 경남은 108조 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이를 1인당 지역총소득으로 살펴보면 부산은 2939만 원으로, 서울(4912만 원)·경기(3847만 원)는커녕 전국 평균인 3753만 원에도 한참 미달했다. 전국에서 대구에 이어 꼴찌에서 두 번째다. 특히 2000년 1인당 지역총소득이 인천보다 앞섰지만 2019년엔 인천에 318만 원이나 적은 수준이다.

1인당 지역총소득은 울산이 가장 높은데 이는 울산에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 생산공장이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2014년에 딱 1년간 세종시의 1인당 지역총소득이 울산보다 높은 적이 있었는데 이때 세종시 토지보상이 본격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종합소득세 역시 마찬가지 추세였다. 서울은 2019년 종합소득세 결정세액이 14조 5018억 원, 경기도가 7조 8121억 원인 데 비해 부산은 2조 1854억 원에 불과하다. 부산은 2000→2019년에 종합소득세가 479% 늘어났지만 서울은 572%가 불어났다.

다만 부산의 경우 1인당 개인소득은 1968만 원으로, 전국평균(2040만 원)보다 큰 격차가 나는 수준은 아니었다. 개인소득은 개인에게 돌아가는 급여 이자 재산소득 등을 말하는데 기업에 귀속되는 소득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1인당 개인소득은 2013년까지 울산이 줄곧 1위였으나 2014~2015년 세종시가 1위, 2017년 이후부터는 서울이 줄곧 1위를 차지하고 있어 이 역시도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추세를 나타냈다.

국토연구원은 “지역 소득규모 수도권 편중이 계속되고 있어 경제규모 격차에 따른 지역 간 차등적 지원과 균형발전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19년 기준 전국의 지역총소득은 1941조 원으로, 2000년 652조 원에 비해 3배 가까이 늘었다. 또 종합소득세는 이 기간 중 4조 8000억 원에서 34조 9000억 원으로 7.3배가 불어났다. 20년간 우리나라 경제가 크게 성장한 데 따른 결과다. 그런데 비수도권은 2000년에는 지역총소득 비중이 전국의 48.3%였으나 꾸준히 하락해 2019년엔 44.4%로 떨어졌다. 특히 2010년부터 격차가 더 나기 시작했다는 설명이다. 정부가 국토균형발전의 필요성을 오래전부터 말해 오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도권 집중화가 점점 심각해지는 것을 통계 지표가 말해 주고 있다.

종합소득세 차이는 더욱 심각하다. 2019년 현재 비수도권의 종합소득세 비중은 32.1%에 불과하고 수도권은 67.9%를 차지하고 있어 비수도권의 2배에 이른다는 것. 국토연구원은 “이 같은 수도권-비수도권의 소득 양극화 현상은 20년간 한 번도 개선되지 않고 고착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