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환경에 무해한 살균·소독제는 없다… 화학물질 사용 최소화가 최선”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환경부의 ‘초록누리’ 앱. 협약기업의 생활화학제품 바코드를 스캔하면 전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환경부의 ‘초록누리’ 앱. 협약기업의 생활화학제품 바코드를 스캔하면 전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가습기 살균제 참사 이후 정부는 기업과 자발적 협약을 맺고 2018년부터 세탁·방향·탈취·살균제 등 22개 기업의 39개 품목 생활화학제품에 대해 전성분을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소비자는 초록누리(생활환경안전정보시스템, ecolife.me.go.kr) 홈페이지와 초록누리 앱의 바코드 스캔을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환경운동연합이 만든 생활화학제품 정보 제공 시스템 화원(hwawon.net)에서도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화장품을 제외하면 생활화학제품의 전성분 공개는 현재 법적 의무는 아니고, 협약 대상에서 중소기업은 빠져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소독제과 살균제 사용이 늘어나면서 제품 안전성과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환경부는 살균·소독제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에서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살균·소독제는 없다”면서 “신고·승인 제품이라도 인체·환경에 노출되는 양이 많으면 해로울 수 있으니 필요한 곳에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공기 중에 분무·분사하는 방식은 인체 노출 위험이 높아 권장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추정에 따르면 화학물질 노출로 2004년 기준 최소 490만 명이 사망했는데 이는 전체 사망자의 8.3%다. 화학물질 혼합이나 노출 환경, 사용자 건강상태나 복용 약 등 모든 조건을 고려한 완벽한 실험은 없다면 건강과 환경을 위해 화학물질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최선이다. 한양대 생명과학과 계명찬 교수의 책 〈화학물질의 습격, 위험한 시대를 사는 법〉에 따르면 필요한 것은 “불편해질 용기”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