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귀촌 생활] 주택·교육·융자 ‘3박자 지원’ 척척… ‘귀어귀촌’ 이곳으로 오세요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16년 경남 통영에 귀촌해 스마트 양식업에 뛰어든 김태현(오른쪽) 씨가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에게서 우수 귀어귀촌인 대상을 받고 있다. 부산일보DB 2016년 경남 통영에 귀촌해 스마트 양식업에 뛰어든 김태현(오른쪽) 씨가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에게서 우수 귀어귀촌인 대상을 받고 있다. 부산일보DB

삭막한 도시를 벗어나 자연을 벗 삼아 제2의 삶을 시작하는 이들이 부쩍 늘었다. 귀촌 인구 한 해 50만 명. 노후 설계 대안으로만 여기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30대와 그 이하 연령층이 매년 귀촌 인구의 4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삶의 또 다른 기회가 되고 있다. 하지만 막상 떠나려니 막막하다. 귀촌 꿈이 있다면 농어촌의 환경·문화를 미리 체험해 시행착오를 줄이고, 정부·지자체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탁 트인 바닷가, 황금빛 들녘을 배경으로 살고 싶은 이들을 위해 ‘슬기로운 귀촌 생활’ 설명서를 모았다.


■‘바다의 땅’ 통영

어촌 정착 최적 ‘수산 1번지’

빈집 정비 지원 프로젝트 눈길


경남 통영은 자타공인 ‘수산 1번지’다. 멸치, 굴, 멍게, 활어 등 다양한 수산물 주산지로 정평이 나 있다. 어촌 정착을 바라는 이들이 첫 손에 통영을 꼽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만큼 귀어·귀촌 희망자를 위한 지원 제도도 다양하다.

귀어업인은 어촌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다 어업인이 되려 어촌 지역으로 이주한 도시민이다. 귀어촌인은 어촌에 자발적으로 이주해 어업에 종사하는 경우다. 둘 중 하나라면 수산 관련 창업과 주택마련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사업 신청 연도 기준 만 65세 이하면 가능하다. 어선·양식 어업, 수산물 가공·유통, 어촌 비즈니스 분야 창업 시 가구당 3억 원까지 융자로 지원한다. 수산물 가공·유통업은 직접 어획하거나 생산한 수산물이어야 하고, 어촌 비즈니스 분야 창업은 어업·양식업과 병행하는 경우만 가능하다.

어가주택을 매입해 고치거나 신축할 때도 가구당 7500만 원까지 지원해 준다. 두 프로그램 모두 금리 2%,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 조건이다. 2012년부터 올해까지 이 프로그램을 통해 114명이 210억 원을 지원받아 창업과 정착에 성공했다. 현직 어업인을 통한 컨설팅도 받을 수 있다. 귀어귀촌종합지원센터로 지정된 (사)한국수산업경영인통영시연합회가 귀어 전문상담과 컨설팅, 어업 현장 실습 교육을 진행한다.

해양수산부와 손잡고 어촌 빈집을 활용한 지원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통영시가 추진 중인 어촌뉴딜사업에 방송 프로그램을 접목한 ‘빈집살래 in 어촌’이다. 빈집을 정비해 귀어인을 위한 임대, 공유 공간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1차 사업 대상지는 산양읍 미남리 달아마을이다. 달아마을은 2020년 통영시 어촌뉴딜사업 대상지로 현재 다른 마을보다 귀어·귀촌인이 많다. 귀어를 계획 중인 청년, 어촌에서 제2의 인생을 계획하는 중년, 바다마을 창업을 꿈꾸는 사람 등 통영에서 살고 싶은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참가자는 본인이 직접 리모델링 과정에 참여해 취향에 맞게 사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조선 도시’ 거제

유자·알로에 등 명성 ‘농업 도시’

귀농 예정자 대상 연 2회 기술교육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거제는 명실상부 ‘조선 도시’다. 조선업에 가리긴 했지만, 농업 분야에서 ‘국내 최초·최대’ 타이틀을 여럿 보유한 지역 역시 거제다. 조선 시대 역사서인 ‘세종실록’에 따르면 당시 유자 주산지로 전남 고흥과 함께 거제를 첫손에 꼽았다. 지금도 전국 유자 생산량의 15%가 거제산이다. 대나무 중 가장 큰 품종인 맹종죽 시배지로 국내 죽순 총생산량의 70%가량을 책임지고, 알로에 역시 거제가 국내 최대 산지다. 귀농 희망자들이 거제를 주목하는 이유다.

당연히 귀농·귀촌 지원 정책도 다양하게 준비돼 있다. 교육·상담·정보제공은 기본, 농촌 사회 정착과 영농분야 창업 그리고 경영에 필요한 자금도 아낌없이 지원한다. 우선 귀농·귀촌자 또는 귀농 예정자를 위한 지원정책, 관련법령, 농업기술교육이 연 2회 열린다. 한 번에 40명씩, 40시간 이수 과정이다. 농촌 이주 5년 이내, 귀농·영농교육 100시간 이상 이수, 만 65세 이하라면 농가 주택을 매입할 때 최대 7500만 원, 창업은 최대 3억 원까지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2% 저금리에 5년 거치 10년 상환 조건이다. 특히 2030세대 청년이라면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만 18~40세 미만, 영농경력 3년 이하 청년 농업인을 대상으로 3년간 매월 영농정착지원금을 준다. 1년 차엔 월 100만 원, 2년 차 90만 원, 3년 차 80만 원이다. 초기 소득이 불안정한 청년 창업농을 위해 만 40~45세 미만, 영농경력 5년 이하일 경우, 1년간 월 100만 원을 지급한다.

귀농을 계획 중인 예비농업인을 위한 종합지원책도 있다. 만 19~50세·영농경력 10년 미만, 농업전공 또는 영농교육 이수자라면 농업 관련 창업자금으로 3억 원 한도 내에서 융자(2%, 5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 지원한다.


경남 밀양시 주관 버섯재배교육에 도시인들이 대거 참여했다. 밀양시 제공 경남 밀양시 주관 버섯재배교육에 도시인들이 대거 참여했다. 밀양시 제공

■4개 메트로폴리스의 중심, 밀양

인근 대도시와 연결 최적 교통망

최근 5년 7790세대 귀농지 선택


인구 100만 명이 넘는 부산·대구·울산·창원의 중심에 위치한 경남 밀양시가 귀농·귀촌 최적지로 부상하고 있다. 부산~대구고속도로와 울산~밀양고속도로, 경부고속철도 등이 관통하는 편리한 교통망과 인구 100만 이상 도시 4곳의 중간에 위치한 지정학적 여건에다 밀양시의 앞선 귀농귀촌정책이 어우러진 결과다.

밀양시는 최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2022년 귀농귀촌 유치 지원사업’에 선정돼 4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고 19일 밝혔다. 귀농귀촌 유치지원사업은 지역여건에 맞춰 지역 정보제공, 상담·안내, 농촌체험활동 등 다양한 도시민 유치 프로그램을 지원해 귀농귀촌 희망자가 안정적 정착을 유도한다.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도내 사업참여 11개 시·군 가운데 최고 사업비를 확보함과 동시에 ‘4년 연속 귀농귀촌 유치 지원사업 선정’이라는 쾌거를 이뤄냈다. 그동안 시는 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 구축, 전문 상담인력 채용 등 다양한 귀농귀촌 지원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번에 추가 확보한 사업비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 확대, 귀농귀촌인 텃밭가꾸기 등 새로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런 지원정책에 힘입어 통계청 기준 최근 5년간 귀농귀촌인 7790가구, 1만 1460명이 밀양시로 전입했다.

밀양시 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에서는 연중 온·오프라인을 통해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의 다양한 궁금증과 애로사항 등을 상담하고 있다. 귀농귀촌 관련 문의는 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055-359-7116~9) 및 누리집(miryang.go.kr/myreturn)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농촌에 관심이 많은 시민을 동네작가로 위촉해 지역 단위별로 귀농귀촌 관련 콘텐츠를 제작해 도시민에게 전달하는 사업도 올해 9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