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종부세 범주에 ‘상속 주택 제외 범위’ 확대 추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가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부담을 일부 줄이기 위해 상속받은 주택의 경우, 주택수 제외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상속받은 주택이 지분율 20% 이하이면서 지분율의 공시가격이 3억 원 이하인 경우 주택수 계산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이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상속 주택 지분 20% 이하거나
지분율 공시가격 3억 이하이면
주택 수에 포함하지 않는 방안
소유 지분율 기준 변경도 논의

13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종부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부모의 갑작스러운 사망 등으로 예상치 못한 주택 상속이 이뤄졌을 경우 개인의 종부세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이 법 개정의 취지다. 현행 종부세법 시행령은 상속으로 주택을 공동 보유한 사람이 △소유 지분율이 20% 이하이면서 △소유 지분율에 상당하는 공시가격이 3억 원 이하인 경우, 주택 수 산정에 예외를 둔다.

그러나 상속받은 주택의 지분율이 20% 넘고 공시가격도 3억 원을 초과하면 A 씨는 2주택자가 돼 종부세가 1주택자보다 부담이 매우 커진다.

현재 종부세는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공시가격 11억 원 이상일 경우 부과되지만 다주택자는 주택 공시가격을 합해 6억 원 이상만 되면 부과된다. 세율도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율은 과세표준에 따라 0.6∼3.0%인데 비해 조정대상지역 2주택이나 3주택 이상 다주택자의 종부세율은 1.2∼6.0%에 달한다. 1주택자와 2주택자의 차이가 매우 크다.

기재부의 개정 방향은 상속받은 주택의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만 충족하면 된다. 예를 들어 지분율이 20%가 넘어도 공시가격이 3억 원 이하라면 주택수 계산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소유 지분율 기준(20%)을 피상속인으로부터 상속 비율로 보던 방식을 주택에 대한 지분율로 바꾸는 방안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부모 한 명이 사망하면서 사망자가 보유한 소유지분 50%를 자녀 3명이 3분의 1씩 상속받았을 경우, 자녀는 해당 주택의 지분 16.7%를 보유하는 것이지만 피상속인으로부터 상속 비율은 33.3%가 된다. 해당 주택의 지분 기준으로 보느냐, 피상속인으로부터 상속 지분으로 보느냐에 따라 보유 주택 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올해 부과된 종부세에 이 규정을 소급 적용하는 것은 어려울 전망이다.

김덕준 기자 casiopea@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