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공항 부등침하 없다, 간사이 지반과 완전히 달라"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문경 한국지반공학회장 인터뷰

간사이엔 ‘연약층’ 이중 분포
가덕도 일대는 연약지반 1개층
홍콩 첵랍콕공항과 많이 닮아
육해상 걸친 활주로 안전해

정문경 한국지반공학회 회장이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열린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문경 한국지반공학회 회장이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에서 열린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가덕신공항 사업은 수심 30m 바다를 메워야 하는 대형 건설공사다. 육상과 해상에 걸쳐 건설하는 것으로 결정이 나면서 매립량은 절반 이상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깊은 바다를 메워 활주로를 만들어야 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일본의 해상공항인 간사이공항처럼 침하가 우려된다며 가덕신공항 건설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수차례 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의 가덕신공항 기본계획 용역에 참여한 전문가는 간사이공항과 가덕신공항의 상황은 완전히 다르다고 밝혔다.

기본계획 자문위원으로 참가한 정문경 한국지반공학회 회장은 가덕도 일대는 홍콩의 첵랍콕공항 지반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통상적으로 바다 밑에는 연약지반이 있다. 오랜 시간에 걸쳐 육지에서 내려온 흙과 암석으로 된 지층”이라며 “가덕도 일대에는 연약지반층이 1개 층으로 돼 있다”고 말했다.

간사이공항은 1994년 내륙에서 약 5km 떨어진 곳에 바다를 매립해 만든 공항이다. 오사카 이타미공항을 대체할 공항으로 지어졌다. 개항 후 이타미공항은 국내선 전용으로, 간사이공항은 국제선과 일부 국내선으로 쓰인다. 특히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서 해외 관람객을 수송할 핵심공항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간사이공항의 역할은 가덕신공항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간사이공항은 매립 후 6년 동안 11m 이상 가라앉은데다 부등침하(불균형하게 가라앉는 것)까지 발생했다. 2002년엔 공항에 있는 한 항공사 건물의 지하 1층이 침수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간사이공항은 그동안 수도권 중심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전문가와 언론의 가덕신공항 반대 주장에 많이 인용됐다. 대구의 한 국회의원은 “전문가들은 부등침하로 조금씩 바다 밑으로 가라앉는 간사이공항보다 가덕신공항의 부등침하 문제가 더 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며 “부등침하가 생기면 유지·보수·복구에 엄청난 돈이 들어간다. 가덕신공항이 건설되면 경제적 손실이 엄청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 회장은 “간사이공항 아래에는 연약지반 두 개 층이 있다. 하나의 연약지반층 아래에 매우 깊은 층이 또 있다. 둘은 지질학적으로 다른 층이다. 위의 층에서는 연약지반 개량공사가 가능했지만, 그 밑의 홍적층은 워낙 깊어 개량공사를 못 하고 내버려 둘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간사이공항은 많이 가라앉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덕도 인근과 첵랍콕공항에는 연약지반이 한 개층만 있다”며 “뿐만 아니라 연약지반 아래에 암반이 나온다. 다른 지역의 경우 암반이 나왔다가 때로는 퇴적토가 나오는 등 불균등한 현상도 많지만 가덕도에는 그런 것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국토부 브리핑에서도 "첵랍콕공항은 첵랍콕과 람카우 섬을 절취하고 활주로를 섬과 해상에 걸쳐 건설했으나 부등침하는 발생하지 않았다. 호주 시드니국제공항 등 육·해상 활주로가 있는 다른 공항에서도 부등침하는 없었다"고 밝혔다.

가덕신공항 건설공법을 가덕도에 걸쳐서 매립하는 방식으로 결정하면서 매립토도 충분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 회장은 “가덕도를 절취해서 바다를 매립해야 한다. 지금 상황을 보면 절취량이 좀 남게 돼 있다”며 “절취량과 매립량이 딱 맞으면 좋겠지만 모자라는 것보다는 낫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번에 발표된 공기 단축과 관련해서 “엔지니어링은 돈과 시간의 문제다. 예를 들어 연약지반 개량공사를 할 때 기계 한 대가 하루에 10개를 한다면 10개의 기계를 투입하면 100개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9년 개항은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며, 예산이 얼마나 뒷받침되는가 하는 문제라는 설명이다.

국토부는 8월 말까지 남은 기본계획 용역 기간 중 관련기관, 민간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공기 단축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