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공공임대’ 선호 지역 뚜렷… “실수요자 중심 공급을”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청 앞 2단지·동래역 행복주택
도심권 위치 계약률 등 인기몰이
공실률 35% ‘일광7블록’과 대조
향후 강서구 1만 2000가구 조성
“청년 원하는 입지와 괴리” 우려

부산의 공공임대주택 공실률이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기장 등 일부 행복주택의 경우 공실률이 30%를 훌쩍 넘는다. 청년층에 인기가 높은 연제구 ‘시청 앞 행복주택’ 건설 현장. 부산일보DB 부산의 공공임대주택 공실률이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기장 등 일부 행복주택의 경우 공실률이 30%를 훌쩍 넘는다. 청년층에 인기가 높은 연제구 ‘시청 앞 행복주택’ 건설 현장. 부산일보DB

부산 연제구 시청 앞 행복주택 2단지의 계약률이 1차 계약에서만 70%를 넘었다. 시청 앞 행복주택은 4.5 대 1의 경쟁률을 보일 정도로 인기가 있었고 1000여 명의 예비입주자가 대기 중인 만큼 100%에 육박하는 계약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부산 기장군 일광7블록행복주택, 부산 서구 아미4행복주택 등은 공실률이 30%가 넘거나 넘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공공임대주택도 선호 지역이 분명한 만큼 향후 관련 정책도 단순 공급 위주에서 탈피,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4일 부산도시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12일부터 27일까지 이루어진 시청 앞 행복주택 2단지 당첨자의 1차 계약률은 74%를 기록했다. 경쟁률이 4.5 대 1이 넘는 인기 공공임대주택이지만 자금 부족, 타(임대)주택 입주, 이사·이직, 동호수 불만, 입주 시기 불일치 등으로 인해 일부는 입주를 포기했다. 미계약 세대에 대한 예비입주자 계약은 이달 말 실시할 예정으로, 예비입주자가 1014명에 달해 계약률은 훨씬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부산지역 신혼부부, 청년,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시청 앞 행복주택의 인기는 이미 예견됐다. 부산의 행정중심지인 시청을 끼고 서면 등 도심과 가까운 데다 도시철도 역과도 인접해 교통도 편리하기 때문이다. 도심권인 동래역 행복주택도 395가구 중 25가구만 비어 있어 공실률은 6.3%에 그친다.

반면 일광7블록행복주택은 입주조건을 완화하며 3차까지 모집했지만, 999가구 중 351가구가 비어있어 공실률이 35.1%나 된다. 오는 10월 입주 예정인 아미4행복주택은 767가구 중 252가구가 비어있는 상태다. 공실률은 32.9%로 예비입주자가 없어 당분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진행하는 행복주택 상황도 비슷하다. 연제구 부산연산2행복주택은 공실률이 11.3% 수준이지만, 기장군 부산정관A4블록행복주택의 공실률은 24.8%, 강서구 부산강서행복주택은 27.5% 등으로 높다.

부산도시공사 관계자는 “청년층은 도심 쪽을 선호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경쟁률에 큰 차이를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시청 앞 행복주택 2단지 모집에는 청년층의 관심이 집중됐는데 청년, 사회초년생 등 청년계층 187세대 모집에 3540명이 몰려 18.9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향후 부산에서 공급되는 공공임대주택이 대부분 강서구에 쏠려 있어 높은 공실률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에코델타시티, 부산명지2택지개발사업지구 등 공공택지를 개발할 때는 의무적으로 20~30%의 공공임대주택을 도입해야 한다. 에코델타시티 4595가구, 부산명지2택지개발사업지구 2475가구, 부산강동 공공주택지구 893가구만 해도 7963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이 들어선다. 여기에 대저공공주택지구 조성으로 5000가구 정도가 더 추가되면 강서구에만 1만 2000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이 생겨난다. 강서구에 많은 개발 호재가 있기는 하지만, 현재 청년들이 선호하는 지역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수도권의 웅진 마을정비형 공공주택 등은 공실률이 60%를 상회하기도 하는데, 부산에서도 이러한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정치권에서 손쉽게 공공임대 아파트를 늘리겠다고 말하지만, 입지·규모 등이 다양하지 않고 공급 숫자에만 집중돼 있다”며 “실수요자의 요구와 실제 들어서는 임대아파트 간의 괴리가 큰 상황인데, 이를 전체적으로 다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대학 소식

        동의대 김선호 부총장,  대학 발전기금 기탁

        동의대 김선호 부총장, 대학 발전기금 기탁

      • 뉴스인뉴스

        부산환경공단 등 부산 5개 공사공단 ‘ESG 협의체’ 발족

        부산환경공단 등 부산 5개 공사공단 ‘ESG 협의체’ 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