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응급의료 시설·인력난 심각
경실련 전국 응급의료 격차 현황 발표
뇌졸중·심근경색 대응 전문의 특히 적어
“의대 신설 등 지역 인프라 격차 좁혀야”
중증응급환자의 골든타임을 책임지는 권역응급의료센터 인력·설치율 등 인프라가 전국 시도별로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부산은 권역별응급의료센터 수와 전문의가 부족해 낮은 성적표를 받았다. 사망률 등을 종합해 중증응급환자 발생에 가장 취약한 시도는 경북·충남·전남인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시도별 응급의료 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경실련은 이번 조사에서 중증환자에게 최종치료를 제공하는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중점적으로 17개 시도의 현황을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부산은 하위권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권역응급의료센터 과목별 전문의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응급의료센터가 1곳밖에 없다 보니, 진료과별 인구 100만 명 당 전문의 수도 적은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산의 경우,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뇌졸중환자에 대응가능한 신경외과 전문의 수는 인구 100만 명당 2.11명에 불과하다.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없는 세종시 다음으로 가장 적은 수다. 심근경색환자에 대응가능한 흉부외과 전문의 수도 인구 100만 명당 1.51명에 불과하다. 이 역시 세종시 다음으로 가장 적은 수치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경우 인구 100만 명당 2.11명이다. 세종, 전남(1.65명)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다.
현재 부산의 권역응급의료센터는 동아대병원 1곳이 유일하다. 최근 해운대백병원이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됐으나, 시설 기준 등을 갖춰야 해 본격적인 운영은 내년 4월께야 가능할 전망이다.
부산의 경우 전문의 수와 시설 설치율의 점수는 낮았으나, 응급질환인 뇌졸중·심근경색 등 사망률은 전국 평균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전문의 수, 시설, 사망률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곳은 경북, 충남, 전남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실련은 지역별로 응급의료 격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권역응급센터 내 전담 전문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최하점을 받은 세 지역은 국립의과대학이 없는 지역인 만큼, 권역별 공공의대 신설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와 함께 전국적으로 의대 정원을 1000명 증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실련은 “중증응급환자의 ‘뺑뺑이’사태를 막기 위해 권역센터는 중증응급환자를 거부할 수 없도록 강제 배치하고, 지역응급의료센터가 중증외 응급환자를 담당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또 인력과 시설 등을 갖춘 상급종합병원은 권역센터로 당연 지정되도록 의무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