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도 가계대출 1조 6000억 증가
긴축 장기화 전망 등 영향
대출 활용 부동산 투자 경고
일부 은행의 대출 금리 상단이 7%를 넘어서 지난해 말 이후 9개 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런 고금리에도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이달 들어서만 1조 6000억 원 넘게 또 불어났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 21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는 연 3.900~6.469% 수준이다. 지난달 말과 비교해 상단이 0.219%포인트(P), 하단이 0.070%P 높아졌다. 신용대출 금리(1등급·만기 1년)도 20여 일 만에 상하단이 0.140%P씩 올랐다.
같은 기간 은행채 5년물, 1년물 금리가 각 0.170%P, 0.140%P 상승했기 때문이다. 은행채 금리는 최근 미국과 한국 긴축 장기화 전망과 은행채 발행 물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꾸준히 올랐고, 지난 20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실제로 ‘매파적’ 기조가 뚜렷해지자 상승 속도가 더 빨라지는 추세다.
이들 은행의 변동금리는 연 4.270~7.099%로, 지난달 말보다 상단은 0.130%P 올랐지만, 하단은 오히려 0.030%P 떨어졌다. 결국 최근 시장금리가 주요 시중은행의 고정금리나 변동금리 모두를 밀어 올리면서, 최고 수준이 7%대를 넘어선 셈이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기준금리(3.50%)조차 밑돌았던 은행들의 정기예금 금리도 속속 4%대로 반등하고 있다.
그럼에도 가계대출은 계속 꿈틀대는 모양새다. 5대 시중은행의 21일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682조 4539억 원으로 8월 말보다 1조 6419억 원 늘었다. 5월 이후 5개월 연속 증가세일 뿐 아니라, 20여일 만에 이미 8월 증가 폭(1조 5912억 원)을 넘어섰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1조 8759억 원 불었다. 5대 시중은행의 흐름으로 미뤄 전체 은행권과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4월 이후 9월까지 6개월째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한은 이창용 총재는 지난달 24일 기자 간담회에서 “금융 비용이 한동안 지난 10년처럼 거의 0%, 1~2% 정도로 낮아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지 고려하며 투자해야 한다”고 빚을 내서 부동산에 투자하는 행태를고 경고한 바 있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