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핵관 대신 수도권 인사… 김기현 ‘탕평 쇄신안’ 민심 돌릴까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힘, 긴급 의원총회 쇄신안 격론
16일 최고위서 새 임명직 등 발표
수도권·중도층 인물 위주 인선 전망
쇄신안 발표로 총선 체제 조기 전환
쇄신안 호응 불발 땐 책임론 재점화
서병수·홍준표 등 직격 비난 이어져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등이 15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등이 15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임명직 당직자 전원이 ‘10·11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면서 김기현 당대표 체제가 2기 진용을 꾸리게 됐다. 전면에 배치됐던 친윤(친윤석열)계 인사들이 대거 후퇴하고, ‘수도권·중원’ 출신이 바통을 이어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기현표 쇄신안’이 당내 보선 참패 파장을 잠재울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국민의힘은 휴일인 15일 오후 국회에서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당 쇄신 방안을 논의했다. 당 혁신위원회 격인 미래비전특별위원회 발족, 인재영입위원회 구성, 총선기획단 조기 출범 등을 두고 의원들이 격론을 벌였다.

이날 의총에선 보선 패배로 직면한 ‘수도권 위기론’ 극복 방안과 함께 임명직 당직자 사퇴에 따른 후임자 인선 등에 대한 의견도 오갔다. 사태 수습에 나선 ‘김기현표 쇄신안’에 여당 지도부의 명운이 달렸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이번주 당직자 후임 인선을 포함한 후속 쇄신안을 발표할 방침이다.

비대위 전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총선을 6개월여 앞두고도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지도부 재편을 앞세운 ‘안정 속 일부 쇄신’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국민의힘 임명직 당직자 전원은 지난 14일 보선 패배 책임을 지고 총사퇴했다. 김 대표, 윤재옥 원내대표를 비롯해 선출직 최고위원단(김병민·조수진·김가람·장예찬)을 제외한 지도부 전원이 해당한다. ‘보선 참패’ 파장에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물러난 것이다.

김 대표는 ‘탕평’을 기조로 후임 인선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원외 인사 1명을 포함, 임명직 당직자의 절반 이상이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이 아닌 수도권 인사로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1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최종 인선을 발표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계기로 당을 ‘총선 대비 체제’로 조기 전환한다는 게 김 대표의 구상이다. 사무부총장(전략기획·조직), 여의도연구원장, 수석대변인, 지명직 최고위원 등도 수도권·중도층 인사를 우선 중용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1기’와 비교하면 영남·친윤 비중이 확연히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당 주축인 영남 지역을 배제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총사퇴로 지도부 내 영남권 인사는 TK(대구·경북) 윤재옥 원내대표, PK(부산·울산·경남) 김 대표와 장예찬 청년최고위원까지 3명이 남았다. 당내 특정 계파색이 짙은 인사는 가급적 지양할 방침이다. 임명직 당직자 8명 중 최소 1명 이상은 원외 인사로 기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과 중원 위주 인사 기용 방침은 이 지역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을 지지한 중도층·2030세대 민심이 이번에 등을 돌린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당장 김 대표가 구상한 2기 진용에 당내 여론이 얼마나 호응할지가 관건이다. 김 대표의 쇄신안이 의원들 동의를 끌어내지 못한다면, 책임론이 재점화할 가능성도 있다. 당 일각에서 단체 행동을 검토하겠다는 기류도 있다.

보선 패배 여진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임명직 당직자 줄사퇴를 두고 비판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패전의 책임은 장수가 지는 것”이라고 김 대표를 직격했다. 5선 중진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 김 대표를 향해 “집권당 대표 자리를 감당하기에 버겁다”고 작심 비판했다. 서 의원은 “왜 졌는지도 분명하다. 보궐선거 내내 ‘힘 있는 여당 후보’ ‘대통령과 핫라인’이라는 선거 전술이 얼마나 웃음거리가 되었는지 되새겨보면 안다”고 말했다.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이날 “뜬금없이 용산의 힘이니 대통령 책임이니 하는 자극적인 말로 당정 갈등을 부추기는 게 쇄신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