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취업자 28만 5000명 늘 때 부산 1만 9000명 줄었다
통계청 지난해 12월 고용동향
1년 전보다 증가세 유지됐지만
수도권 19만 8000명 증가 쏠림
준수도권 충청도 4만 2000명↑
부울경 전체 광공업 취업자 감소
부산 고용률 57% 전국 최하위
전국적으로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28만 5000명이 증가했다고 통계청이 발표했다. 그러나 이 같은 ‘전국 통계’에는 큰 함정이 있다. 취업자 수 증가분 거의 대부분이 수도권과 ‘준 수도권’으로 불리는 충청 지역에서 발생한 것이다. 부산은 오히려 1만 9000명 감소했고 울산은 5000명 증가에 그쳤다. 경남은 2만 2000명 늘어났지만 인천의 취업자 수 증가분에도 못 미친 규모였다. 취업자 수 증감을 살펴봐도 우리나라가 얼마나 수도권 지역에 초집중됐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전국 취업자는 2809만 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28만 5000명 증가했다. 증가 규모 자체는 10월(34만 6000명)보다 줄긴 했으나 34개월 째 취업자 증가세는 이어졌다. 취업자 증감은 1년 전과 비교해 발표한다.
이를 지역별 통계로 나눠보면 서울은 5만 7000명 늘어나고 경기도는 11만 6000명 증가했다. 인천 역시 2만 5000명 증가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취업자 증가 규모는 19만 8000명에 달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부산의 취업자 수는 1년 전에 비해 1만 9000명 감소했고 울산은 5000명 증가에 그쳤다. 경남은 2만 2000명 늘어났다. 이에 따라 부울경 취업자 통계를 합하면 8000명 증가에 그친 것이다. 특히 경제의 기반이 되는 광공업(광업+제조업) 취업자 수는 부산과 울산이 각각 6000명과 3000명 줄었고 경남은 6000명 증가에 그쳤다. 이를 합산하면 부울경 광공업 취업자는 3000명 줄어든 것으로 나온다.
다른 시도의 12월 취업자를 살펴보면 △대전 2만 명 감소 △세종 3000명 증가 △충북 2만 3000명 증가 △충남 1만 9000명 증가 등이었다. ‘준 수도권’으로 불리기도 하는 충남과 충북 지역 취업자수는 4만 2000명 늘어난 것이다. ‘준 수도권’이라는 말은 수도권에서 공장을 차리거나 창업을 하기 어렵더라도 지방 먼 곳은 안가고 최소한 수도권에서 가까운 충청도에서 사업을 한다는 것에서 유래된 말이다. 그래야 최소한의 인재를 구할 수 있다는 표현이기도 하다.
이처럼 수도권과 준수도권 지역의 취업자 수가 24만 명 늘어나면서 전국 취업자 수 증가분(28만 5000명)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렇다보니 부산의 고용률은 57.0%로 전국에서 가장 낮고 경기도(63.6%) 서울(61.2%)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부산의 12월 취업자 수는 광공업에서 6000명 줄었고 건설업 2만 3000명, 도소매·음식숙박업 2만 9000명이 각각 감소했다. 개인·공공서비스업에서 3만 7000명이 늘어나면서 그나마 감소폭을 줄였다. 부산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별로 나누면 비임금근로자는 4만 7000명 줄었고 이 가운데 자영업자는 4만 명 감소했다. 임금근로자는 2만 7000명 늘었다.
한편 지난해 12월이 아닌 지난해 한해 동안의 평균 취업자 수는 33만 명 늘었다. 80만 명 넘게 급증했던 2022년보다는 증가세가 크게 둔화했다.
기획재정부는 “2023년은 고용률(15세 이상 62.6%, 15~64세 69.2%), 경제활동참가율(64.3%), 실업률(2.7%) 모두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최저를 기록하며 견조한 고용 흐름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평가도 수도권에만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부산지역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정부에서는 말로만 수도권 집중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하고 실제 한국경제의 주요 산업은 모두 수도권에 입지하도록 모든 편의를 다 봐주고 있다”며 “도심융합특구·기회발전특구 등 지방경제를 위해 특구를 만든다고 홍보하지만 아직 첫 삽을 뜬 곳은 한 곳도 없고 기본계획조차 제대로 잡히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