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침체에 단순노무직 12만명 줄어…외환위기후 최대폭 감소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난해 단순노무직 11만 8000명 감소
제조업분야에서 감소폭 전체 절반 달해
수출부진 등 제조업 경기 침체가 원인

지난해 제조업 경기가 침체에 빠지면서 단순노무직 취업자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이미지투데이 지난해 제조업 경기가 침체에 빠지면서 단순노무직 취업자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이미지투데이

지난해 제조업 경기가 침체에 빠지면서 단순노무직 취업자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수출이 잘 안되면서 제조업 경기가 부진하자 저소득층 일자리에 큰 타격을 줬다는 분석이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단순노무 종사자는 392만 7000명으로 전년(404만 5000명)보다 11만 8000명(2.9%) 감소했다.

이는 통계청 7차 직업분류 기준에 따라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최대 폭이다. 과거 직업 분류 기준까지 포함하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26만 5000명 줄어든 뒤로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다만 외환위기 당시는 전체 취업자 수가 127만명 줄어드는 등 고용 시장 전체가 패닉 상태였다는 점에서 지난해와는 상황이 다르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32만7000명 증가했다.

통계청은 단순노무 종사자를 △건설 및 광업 관련 단순 노무직 △운송 관련 △제조 관련 △청소 및 경비 관련 △가사·음식 및 판매 관련 △농림·어업 및 기타 서비스 단순 노무직 등을 말한다고 밝히고 있다. 예를 들어 건설단순노무자, 배달원, 포장원, 경비원, 가사도우미, 검침원 등을 말한다.

단순노무직은 2018년 5만명 줄어든 뒤로 매년 증가했지만 지난해 5년 만에 큰 폭의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특히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단순노무직 취업자 감소 폭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이 부진하면서 제조업에 큰 타격을 줬는데 이 영향을 크게 받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단순노무직은 사회시설관리업, 건설업 등에서도 줄었지만 제조업에서 가장 많이 줄었다. 제조업 부진이 단순노무직 감소에 주된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단순노무직 일자리 한파는 저소득층 가계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3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2만2000원으로 전체 소득 5개 분위 가구 중 유일하게 감소(-0.7%)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고용 유발 효과가 적은 자본집약적 산업 중심의 제조업 성장세에 더해 경기적 요인까지 겹치면서 단순노무직이 빠르게 줄어든 것”이라며 “지난해 3분기 저소득가구만 소득이 줄어든 배경 중 하나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