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구, 치매환자 실종 예방 ‘스마트 태그’ 지원사업 나서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지자체 최초 100대 보급

부산 사하구청 전경. 부산일보DB 부산 사하구청 전경. 부산일보DB

부산 사하구가 기초 지자체 최초로 ‘스마트 태그’ 지원에 나서는 등 치매 환자 실종 예방 사업에 나선다.

22일 사하구청에 따르면 사하구 보건소 치매안심센터는 이달부터 치매 환자를 위한 ‘스마트 태그’ 지원 사업을 펼친다고 밝혔다. 부산이 초고령사회가 되면서 치매 노인 실종이 사회문제로 부상한 데 따른 것이다.

스마트 태그는 배회와 실종 위험이 높은 치매 환자의 신체나 가방 등 소지품에 부착해 실종 사고를 예방하는 소형 전자기기다. 가로 28mm, 세로 52mm 타원형 모양으로 제작된 열쇠고리 형태다. 스마트 태그는 착용이 편리하고 최대 1년 이상 수명을 유지하는 배터리를 사용해 충전을 자주 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앴다. 착용이 번거롭고 배터리 지속 기간이 짧은 기존 손목시계 형태 GPS 배회감지기의 단점을 보완했다.

부산 사하구 보건소 치매안심센터를 찾은 한 치매 환자 보호자가 스마트 태그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하구 보건소 제공 부산 사하구 보건소 치매안심센터를 찾은 한 치매 환자 보호자가 스마트 태그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하구 보건소 제공

스마트 태그를 부착하면 보호자가 치매 환자의 위치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실종 시 신속한 발견이 가능하고, 안전한 가정 복귀를 도울 수 있다.

사하구는 이달부터 스마트 태그 100개를 보급한다. 올해 첫 시행을 거쳐 관내 주민의 추가적인 수요에 따라 보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배회나 실종 경험이 있는 치매 환자 또는 인지기능이 저하된 관내 주민이다. 단, 스마트 태그를 관리할 수 있는 보호자가 있어야 한다. 스마트 태그 신청·상담은 사하구 보건소 치매안심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향후 스마트 태그 보급 사업이 부산 타 지자체로 확산될지도 주목된다. 지역 내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치매로 인한 유병률도 높아지는 추세를 감안해 스마트 태그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다. 사하구 보건소 관계자는 “특히 치매 노인 실종은 소위 ‘골든타임’을 지나쳐서 신고가 접수돼 안타까운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며 “인지능력이 저하된 어르신들이 실종 위험에 놓이지 않도록 스마트 태그 보급 등 다양한 방면으로 실종 예방을 돕겠다”고 말했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