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공동주택용지 건설사 분양대금 연체 급증…1조5000억원 달해
전체 45개 필지 1조 5190억원
6개월만에 연체 5000억원 증가
분양시장 불황에 PF도 힘들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건설사에 매각한 공동주택용지의 분양대금이 연체가 크게 늘어 1조 5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로 인해 아파트 분양시장이 불황을 겪고 있는데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로 건설사들의 자금조달도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23일 LH에 따르면 1월 15일 기준 건설사의 공동주택용지 분양대금 연체 규모는 전체 45개 필지, 1조 519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H 공동주택용지 연체대금은 지난해 7월 초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반년 만에 그 규모가 5000억원 이상 불어난 것이다. 1년 전인 2022년 말 7492억원과 비교하면 배이상 늘어났다.
LH 공동주택용지 연체금액이 1조원을 넘어선 것은 2013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LH 연체이자가 연 8.5% 수준인데 PF 브릿지론 이자는 연 12%를 넘어가고, 본 PF 전환은 더 어려운 상황”이라며 “분양시장의 불확실성이 큰 상태에서 높은 PF 이자를 내고 무리해서 자금조달을 하느니 차라리 LH 택지대금을 연체하는 편이 낫다고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택지별로는 경기도 파주 운정지구의 경우 연체규모가 7개 필지, 약 5439억원에 달한다. 이는 전체 연체금액의 3분의 1이 넘는 것으로 남북관계 경색 등에 따라 분양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지난해 단일 택지지구에서 최대 규모의 연체가 발생했다.
특히 인기 택지로 분류되는 성남 복정1지구의 2개 필지도 2962억원이 미납됐고 인천 검단·영종·청라 등 인천지역은 11개 필지에서 2253억원, 화성 동탄2지구는 5개 필지에서 1758억원이 각각 연체되는 등 수도권 요지의 택지에서도 대규모 연체가 발생했다.
연체 규모가 커지면서 공동주택용지 신규 판매도 부진하다.
LH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로 분양에 들어간 공동주택 63개 필지 가운데 20%가 넘는 13개 필지가 팔리지 못했다. 화성 동탄2 연립주택 부지는 물론 인천영종과 고양창릉 등 일반 아파트 분양용지도 주인을 찾지 못했다.
이에 따라 작년 말 기준 미매각 용지는 총 32개 필지로 늘었고 미매각 대금도 총 1조 9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토교통부는 LH와 건설사의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공공택지 전매를 허용했지만 아직까지 전매 실적은 한 건도 없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LH가 건설사에 분양하는 공공택지는 안정적인 사업 구조로 인기가 높은데 최근 대금 연체와 미분양이 늘고 있다는 것은 주택공급 측면에서도 적신호”라고 우려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