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계엔 ‘친명 자객’, 이언주엔 ‘러브콜’…‘민주당다움’의 다른 잣대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친명계, 비명 현역 “민주당답지 않다”며 자객 출마 계속
‘극우 행보’ 걷던 이언주 전 의원엔 민주당 영입 움직임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의원이 2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 광명을 출마를 선언했다. 양이원영 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의원이 2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 광명을 출마를 선언했다. 양이원영 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이 지난 2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성남시 중원구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이 지난 2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성남시 중원구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더불어민주당에서 비명(비이재명)계를 겨냥한 ‘자객 출마’가 계속되면서 당내 공천 갈등이 깊어졌다. ‘친명 자객’은 비명계 현역이 “민주당답지 않다”며 공격에 나섰다. 그러나 민주당에선 이재명 대표가 국민의힘 출신인 이언주 전 의원의 ‘민주당 복당’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제기됐다. 이 전 의원은 민주당 탈당 이후 ‘보수의 아이콘’으로 활동한 바 있어 친명계가 주장하는 ‘민주당다움’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친명계 양이원영 의원은 2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 광명을 출마를 선언했다. 광명을 현역은 비명계 양기대 의원이다. 양이원영 의원은 양기대 의원에 대해 “국민의힘에 있어도 이상하지 않는 민주당답지 않은 정치인”이라며 “사적 권력만 축적해온 토호 정치인”이라고 비판했다.

양이원영 의원은 양기대 의원을 향해 “당대표 체포동의안에 왜 가결표를 던졌냐”고 물었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은 비밀투표였지만 친명계에선 비명계 의원들이 가결표를 던졌다고 주장하면서 ‘퇴출’을 외치는 모습이다.

민주당에선 지난 22일에는 친명계 비례대표 이수진 의원이 비명계 윤영찬 의원 지역구인 성남 중원 출마를 선언해 논란이 됐다. 이 의원은 윤 의원에 대해 “민주당의 기본 정체성조차 없는 사람”이라며 “민주당에 배신과 분열의 상처를 줬다”고 비판했다.

이처럼 친명계가 ‘민주당다움’을 강조하며 비명계 퇴출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이 대표는 ‘보수의 아이콘’ 이언주 전 의원 영입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등 일부 언론은 이 대표가 최근 국민의힘을 탈당한 이 전 의원에게 민주당 복당을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23일 보도했다. 이 전 의원 영입 시도는 ‘외연 확대’ 차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의원은 2012년 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소속으로 경기 광명을 지역구에서 당선돼 2016년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친문(친문재인)계와 갈등으로 탈당, 국미의당2017년 4월 당시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국민의당으로 옮겼다. 이후 국민의당, 바른미래당을 거쳐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에 합류했다. 21대 총선에서 부산 남구을에 출마했다가 민주당 박재호 후보에게 패한 이 전 의원은 최근까지 국민의힘 남구을 지역위원장을 유지하다가 지난 18일 탈당했다.

이 전 의원은 민주당 탈당 이후 보수성향의 논란 발언을 쏟아내 논란을 일으켰다. 2017년에는 파업을 강행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미친놈들’, 학교 조리사를 ‘밥 하는 아줌마’라는 표현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2019년에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별세와 관련해 “사실상 문재인 정권과 계급혁명에 빠진 좌파운동권이 죽인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 당시 ‘반문연대’를 주장하던 이 전 의원은 최근에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판하며 ‘반윤연대’를 주장하고 있다. 이 대표가 이 전 의원 영입에 나선 것은 ‘반윤’ 이미지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 전 의원이 민주당 친명계가 주장하는 ‘민주당다움’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