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부산 유가족 "특별법 거부, 피눈물"
시민단체 “정부, 배·보상 언급하며 본질 흐려”
이태원 참사로 자녀를 잃은 부산 유가족이 ‘이태원특별법’ 거부권을 행사한 정부를 비판하며 거리로 나섰다.
부산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시민단체연합은 31일 오후 2시 연제구 연산동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지난 30일 정부가 ‘이태원특별법’ 거부권을 행사했고, 참사 후 약 1년 3개월 동안 유가족과 만남을 추진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가족은 1년 넘는 기간 동안 특별법 제정을 위해 힘써도 정부가 결국 외면했다고 주장했다. 참사로 사망한 김산하 씨 아버지 김운종 씨는 “유가족들은 거리로 나와 서명운동, 행진, 단식, 삼보일배, 오체투지, 삭발을 하며 의문점을 풀어 달라고 호소했다”며 “그럼에도 정부는 유가족도 모르는 합동분향소를 만들고 조문할 뿐 유가족과 피해자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한 적 없다”고 말했다.
시민단체연합도 기자회견문을 통해 “거부권은 무제한으로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 아님에도 정부는 이를 남용하고 있다”며 “거부권 행사와 동시에 배·보상까지 언급하며 유가족들을 보상에 관심 있는 사람들로 매도하고 본질을 흐렸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0일 ‘10·29 이태원참사 피해자 권리보장과 진상규명 및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법’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윤 대통령이 취임 후 거부권을 행사한 건 이번이 5번째며 법안 수로는 9건째다. 1988년 제6공화국 출범 이후 7건으로 가장 많은 거부권을 행사한 노태우 전 대통령을 넘어섰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