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보 제5기 독자위 6월 회의] '전기요금 차등화' '공유수면 점·사용료' 등 지역 이슈 잘 이끌어

김동주 기자 nicedj@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제5기 <부산일보> 독자위원회 6월 지면 평가 회의가 지난 26일 오후 부산일보사 4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김종진 기자 kjj1761@ 제5기 <부산일보> 독자위원회 6월 지면 평가 회의가 지난 26일 오후 부산일보사 4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일보사(대표이사 사장 김진수)와 〈부산일보〉 독자위원회(위원장 조시영)는 지난 26일 부산일보사 4층 회의실에서 독자위원 11명과 이현우 부산일보 콘텐츠랩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5기 독자위원회 6월 지면 평가 회의’를 열었다.

■지역 인구 소멸 해결 방안도 제시를

심재운(부산상공회의소 경제정책본부장) 위원은 “지역 이슈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는 언론의 기능을 제대로 했다”고 평가했다. 심 위원은 “5월 1일 자 ‘비자 문턱 높은 부산, 유학생 안 온다’는 기사는 인구 소멸 측면에서 시급한 문제를 잘 지적했다. 향후 일자리 미스매치 상황과 유학생 정책 등 해결 방안까지 제시하면 좋겠다”고 주문했다. 또 “지속 보도한 ‘전기요금 차등화’는 지역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업을 유치하는 동력이 될 수 있다. 조선업체 공유수면 점·사용료 문제, 건설업체 부도 기사는 지역 기업의 애로에 관심을 가지게 했다”고 말했다.

■중장년층 다룬 시리즈 의미 있어

백윤서(초록우산 부산지역본부 과장) 위원은 “지난 두 달간은 아동·청소년부터 중장년, 장애인 등 ‘복지 기사 풍년’이었다”고 말했다. 백 위원은 “‘5060, 부산의 활력으로’ 시리즈는 고령자 증가에 대한 어두운 측면이 아니라 중장년층에 초점을 맞춰서 의미 있었다. 6월 17일 자 8면에 소개한 빛고을노인건강타운은 한국이 노인을 위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또 6월 25일 자 ‘부산 지자체 산후조리비 지원’, 6월 18일 자 ‘부산어린이병원 2027년 개원’ 기사는 1면에 전격 배치해 눈에 띄었다”고 평가했다.

■무너지는 부산 산단 기사, 현실 잘 반영

조시영((주)명진TSR 대표) 위원장은 “4월 25일, 5월 7일, 5월 16일 자에 시리즈로 보도된 ‘무너지는 부산 산단’ 기사는 현실을 잘 짚었다. 해결책으로 제시한 ‘교통 확충’은 기업이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다. 강서구 산단 지역과 녹산·명지 주거지와의 연결 다리, 을숙도~하단 간 연결로 확충 등 빠른 방법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남성 빠진 반쪽 난임 대책’ 기사는 후속 보도 안내가 없어 아쉬웠고, 부산닷컴 관련 기사 링크도 미흡하다. ‘우리 아이가 태어났어요’는 저출생 시대에 의미 있는 코너다”고 덧붙였다.

■‘읽기 가치’ 확산할 기사 생산해 달라

이화행(동명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부위원장은 “6월 16일 자 칼럼 ‘신문 이야기’는 독자들이 신문 제작 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줬다. ‘읽기’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해서 생각하게 했다. 디지털 시대 문해력 문제를 아날로그 매체 읽기를 통해 회복하게 하는 관련 기사도 나왔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이 부위원장은 “야당 대표가 언론을 검찰의 애완견이라고 표현했다. 언론은 권력을 감시하는 ‘워치독’ 역할을 해야 한다. 원론적 비하에 대해서는 사설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반응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가덕신공항 입찰' 후속 보도 필요

김소연(법무법인 예주 대표변호사) 위원은 “6월 26일 자 ‘가덕신공항 입찰 지역업체 들러리?’ 기사를 보면 지역업체 지분이 겨우 11%에 그쳤다. 지역 경제가 살아날 것이라고 기대한 시민들의 실망감이 크다. 후속 보도를 자세히 해달라. 6월 14일 자에 해운대구청 신청사 건립 주관사가 회생 신청했다는 기사가 났다. 왜 이런 상황에 이르렀는지 원인과 향후 문제점은 없는지 짚어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부울경에는 없는 '6호처분 소년범 감호시설'의 필요성을 잘 언급해 줬다. 6·25전쟁 제74주년을 맞이해 기획 기사가 없는 점은 아쉬웠다”고 말했다.

■부산 오페라 제작 역량 문제 잘 짚어

남영희(부산대 대학원 예술문화와영상매체협동과정 강사) 위원은 “6월 25일 자 ‘7월과 10월 부산은 음악도시’ 기사에서 작은 공연장들의 행사를 소개했다. ‘음악도시’로 이끌어가는 듯한 선언적인 제목이 좋았다. 6월 20일 자 ‘부산 오페라 현실’ 기사는 부산의 오페라 제작 역량 문제를 여러 측면에서 잘 짚었다”고 평가했다. 남 위원은 “6월 17일 자에 ‘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BIKY)’ 기사가 실렸다. 올해 예산이 전액 삭감돼 개최 기간과 상영작이 축소됐다. 삭감 배경과 지원 방안 등을 취재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다”고 했다.

■이기대 논란 관련, 개발 방향 선제 검토를

한영숙((주)싸이트플래닝건축사사무소 대표) 위원은 “이기대 아파트 건립 논란과 관련해 꼼꼼하게 기사를 쓰고 있다. 아파트 건립에 앞서 케이블카 사업이 무산됐다. 사실 그 시기에 바람직한 개발 방향에 대해 선제적으로 검토하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용적률이 문제인지 디자인 퀄리티가 문제인지 더 심층적으로 살펴봤으면 좋겠다. 같은 실수가 반복되지 않도록 시스템을 보완하고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부산일보가 해줬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도시건축 관련 기사에서 지자체의 보도자료를 넘어서서 시민의 다양한 의견을 담았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잊힌’ 우 순경 사건 다룬 칼럼 눈길

백인아((주)태진정밀 대표) 위원은 “4월 29일 자 ‘뒤늦은 해원’ 칼럼이 눈에 띄었다. 1982년 경남 의령군 궁류면 오지 마을에서 일어난 ‘우 순경 사건’을 다루고 있다. 우 순경이 지서에서 총기와 실탄, 수류탄을 탈취해 마을 사람들에게 무차별 난사한 시간이었다. 이 사건의 희생자 추모 행사가 42년 만에 처음으로 열렸다고 한다. 뒤늦게라도 위령제가 열려 다행스럽다”고 말했다. 백 위원은 “6월 19일 자 1면에 실린 ‘부산 휴진 참여율 11.9%, 큰 혼란은 없었다’ 기사는 시민이 의료 공백을 불안해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도하게 하는 기사였다”고 평가했다.

■우키시마호 연속 보도 돋보여

박재영(대륙금속(주) 전무이사) 위원은 “5월 27일 ‘우키시마호 탑승자 명부, 일본 정부 보관해 왔다’, 5월 30일 데스크 칼럼, 6월 3일 ‘승선자 명부 또 나왔다’, 6월 24일 ‘한국 정부, 일본에 우키시마호 승선 명부 요청’과 사설 등 우키시마호에 대한 기사가 계속 나오고 있다. 저의 할아버지도 일본에서 귀환할 때 그 배를 탈 뻔했다고 들었다. 그만큼 부산 시민의 관심도 큰 사안이다. 부산일보가 책임감을 가지고 보도해 주고 있어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대기업에 비해 지역의 중소기업 소식이 많지 않다. 관심 있게 찾아봐 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노르웨이 해수장관 인터뷰 인상적

정연정(SIMC속바른내과 종합건강검진센터 행정원장) 위원은 “6월 13일 자 노르웨이 해수장관 인터뷰 기사가 인상적이었다. 해운 인력 부족을 양성평등을 통해 해결하고 국가 간 협력과 지식 공유를 꾀하는 좋은 기사였다. 해상풍력 업체와 어민 갈등을 처음 알게 됐는데, 왜 갈등을 겪는지 구체적인 내용을 다뤘으면 한다. 이와 관련한 부산 지역의 후속 기사도 기대한다”고 했다. 정 위원은 “같은 날에 실린 ‘함안 6~18세 버스비 100원’ 기사에서는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좋은 정책을 소개했다. 자칫 소홀할 수 있는 연령에 대한 관심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답변

이현우 부산일보 콘텐츠랩본부장은 “우키시마호는 종착지가 부산이었다. 〈부산일보〉가 해야 할 당연한 숙제라고 생각한다. 일본 정부와 우리 정부를 움직여서 진상 규명에 다가가고 있다. 자매지인 서일본신문과 공동으로 취재하고 있으며, 계속 깊이 있게 접근할 계획이다. 이기대 난개발은 전문가나 시민의 시선에서 각각 의견이 다를 수 있다. 환경이나 공공의 이익을 위한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지역 기업과 산단 문제 등에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답했다.


김동주 기자 nicedj@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