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임금근로자 사상 첫 1000만 명 돌파… 여성 자영업자도 역대 최고
올해 여성 임금근로자 1015만명 달해
여성 자영업자 비중 30.5% 역대 최고
남녀 임금 차이는 OECD 국가 중 최대
상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 일용직 등 급여를 받는 사람을 임금근로자라고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여성 임금근로자가 사상 첫 1000만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남녀의 임금 차이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가 중 가장 컸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1015만 2000명으로 1963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0만명을 웃돌았다. 올해 수치는 1∼8월 월평균 기준이다. 연말까지 큰 변화가 없다면 올해 연간 수치가 1000만명을 넘는 것은 기정사실로 보인다.
올해 전체 임금근로자(2202만 7000명)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46.1%로 역대 최고다.
여성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696만 2000명으로 68.6%이었고 △임시근로자는 290만 7000명으로 28.6% △일용근로자는 28만 3000명으로 2.8%를 각각 차지했다.
임금근로자와 마찬가지로 올해 여성 자영업자 비중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올해 여성 자영업자는 172만명으로 전체 자영업자의 30.5%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지난해 30.1%로 처음으로 30%를 돌파한 바 있다.
여성 자영업자 수는 2006년 181만 70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코로나 시기인 2021년 156만 4000명까지 줄어든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올해 여성 자영업자와 함께 무급가족종사자를 합한 비임금근로자는 247만 1000명이었다. 전체 비임금근로자의 37.9%다. 무급가족종사자는 임금을 받지 않고 자영업자와 같이 일하는 가족이나 친척을 말한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남녀 임금 차이는 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남녀 임금 차이는 31.2%로 36개 회원국 중 1위다. 남녀 임금 차이는 OECD 회원국 평균(11.4%)의 2.7배다.
다음으로 라트비아(24.9%) 일본(21.3%) 이스라엘(20.8%) 에스토니아(20.5%) 순이었고 미국은 17.0%였다. 룩셈부르크는 0.4%, 벨기에는 1.1%로 남녀 임금 차이가 거의 없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