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 부상한 ‘김건희 라인’ 인적쇄신…정치권 전방위 공방전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동훈 “그런 라인 존재하면 안 돼”…대통령실 “여사 라인이 어디 있나”
민주당 “한동훈, 호랑이 등에 올라타…미봉하면 잔인하게 보복당할 것”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치권이 이른바 ‘김건희 라인’ 청산을 놓고 충돌하고 있다. 국민의힘에선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가 김건희 라인 인적 쇄신 문제로 정면충돌했다. 야권에선 더불어민주당이 친한계의 ‘청산론’에 힘을 실으면 ‘김건희 특검’을 압박했다.

김건희 라인 청산론은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주도하고 있다. 한 대표는 14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건희 라인과 관련 “그런 분의 라인이 존재한다고 국민들이 오해하고 기정사실로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신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김 여사는) 공적 지위가 있는 사람이 아니다. 그런 라인은 존재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지난 12일에도 부산 금정구청장 보궐선거 유세 현장에서 “김 여사에 대한 국민의 우려와 걱정을 불식하기 위해 대통령실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한 대표가 인적 쇄신의 대상을 김건희 라인으로 특정하면서 현재 대통령실에서 비서관·행정관으로 일하는 7명을 겨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선 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내외를 돕거나 수행했던 이들 7인은 ‘한남동 라인’으로도 불리며 대통령실 L비서관, K비서관, C비서관, K선임행정관 등이 거론된다. 친한계에선 김건희 라인 인사들이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은 1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한남동 라인의 경우에는 본인 직책의 직무 범위를 벗어나서 부적절한 정치 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저희들이 지목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신 부총장은 “그 대표적인 사례가 양정철 비서실장, 박영선 국무총리 언론 보도”였다면서 “인사위원장이 공식적으로 부인을 했는데 인사, 공보라인에 있지도 않은 일부 참모들이 아니다. 그건 비서실장이 잘 몰라서 그러는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친한계가 김건희 라인 청산을 요구하고 나선 데 대해 대통령실은 “공적 업무 외에 비선으로 운영하는 조직 같은 것은 없다”고 반박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뭐가 잘못된 것이 있어서 인적 쇄신인가. 여사 라인이 어딨는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실의 라인은 오직 대통령 라인만 있을 뿐”이라며 “최종 인사 결정권자는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친윤계도 한 대표의 김건희 라인 언급을 비판하고 나섰다. ‘원조 친윤’ 권성동 의원은 이날 SNS를 통해 “한 대표와 측근들이 한마디씩 툭툭 내뱉으면 언론은 이를 빌미로 기사화하고 있다”라며 “평론 수준의 정치나 하는 것이 당 대표와 그 측근의 역할인가”라고 비판했다. 김재원 최고위원도 김어준 씨의 유튜브 채널에 나와 “불과 얼마 전에 보수진영이 분열해서 결국 탄핵 사태까지 가고 참담한 결과를 빚어 많은 사람 가슴 속에 아픔이 남아 있는데, 지금도 보수 분열이 시작되는 것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김건희 라인을 둘러싼 여권 내부 갈등이 폭발하는 상황에서 야당은 한 대표에게 힘을 실어주며 김건희 특검을 압박했다. 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호랑이 등에 올라탄 한 대표가 떨어지지 않기를 바란다”면서 “국민적 의혹을 미봉하면 ‘건희무후’와 ‘7상시’로부터 (한 대표가)잔인하게 보복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같은 회의에서 “인적쇄신이 김 여사의 과거 불법의혹을 덮는 면죄부가 될 수는 없다”면서 “수많은 범죄의혹이 대통령실의 김건희 라인 몇 명 바꾼다고 없어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찬성하고, 대통령이 수용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검사 출신 집권여당 대표로서 할 일”이라고 주장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