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녹조 가을까지 기승… 정부에 대책 촉구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물금·매리·칠서 ‘관심’ 경보 유지
기후변화 탓 만성적 수질 악화
비점오염 저감 예산은 ‘반토막’
환경단체, 5만 국민청원 나서

낙동강부산네트워크는 21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정부의 책임 규명 및 녹조 대책 마련을 위한 국회 청문회 요구 5만 명 국민청원’ 기자회견을 열었다. 낙동강부산네트워크는 21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정부의 책임 규명 및 녹조 대책 마련을 위한 국회 청문회 요구 5만 명 국민청원’ 기자회견을 열었다.

가을이 되면 사라져야 할 녹조가 10월에도 부산 식수원인 낙동강 하류 물금·매리와 경남 칠서 2곳에서 여전히 검출되고 있다. 길어지는 더위와 낙동강 하류로 모이는 오염원이 원인으로 추정되는데, 향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녹조 위협이 수개월에 걸쳐 장기화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환경단체는 낙동강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국민동의청원에 나서며 정부 차원에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21일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4일 부산의 식수원인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 조사에서 유해 남조류 세포 수(cells/mL)는 2248개로, 경보 ‘관심’ 단계를 유지하고 있다. 같은 날 경남 칠서 지점은 유해 남조류 세포 수가 1만 4361개로 물금·매리와 마찬가지로 경보 ‘관심’ 단계 수준이다.

조류 경보는 2회 연속 측정 시 유해 남조류 세포 수가 mL당 1000개 미만이면 ‘미발령’, 1000개 이상이면 ‘관심’, 1만 개 이상이면 ‘경계’, 100만 개 이상이면 ‘대발생’ 단계로 구분한다. 현재 낙동강 유역에서 조류 경보를 유지하고 있는 곳은 물금·매리와 경남 칠서 지점 2곳뿐이다.

가을에도 지속되는 무더위가 녹조 번식의 원인으로 꼽힌다. 가을이 되면 강의 수온이 내려가 녹조 대부분이 사라져야 하지만 부산 지역은 10월임에도 낮에는 20도를 웃도는 더위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그동안 여름철 한두 달에 그쳤던 녹조 위협이 앞으론 수개월에 걸쳐 만성적인 수질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여기에 낙동강 하류 지역 특성상 유입되는 오염원들이 많아 녹조가 지속적으로 증식할 여건이 만들어졌다는 게 전문가 분석이다.

부경대 식품영양학과 이승준 교수는 “녹조는 수질이 오염됐을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이라며 “기후변화로 더위는 길어지고 강수량은 줄어들어 녹조 발생 기간 자체가 길어질 것이다. 여기에 오염원 유입, 부영양화 등으로 녹조가 계속해서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가을에도 부산의 식수원인 낙동강 하류에 녹조 발생이 이어져 먹는 물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정부의 대처는 미온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녹조 발생 주기는 길어지고 빈도는 잦아지는 등 문제가 심각해지는데, 오히려 녹조 예방을 위한 올해 낙동강 유역의 비점오염 저감 사업은 줄어들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이 환경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낙동강유역환경청의 비점오염 저감 사업 예산은 44억 원으로 지난해 90억 원, 2년 전 80억 원보다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단체는 정부에 낙동강 녹조 발생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단체는 ‘낙동강 녹조재난, 책임자 처벌과 대책을 촉구하는 국회 청문회 개최 요구’에 관한 국민동의청원을 지난 11일 접수했다. 단체는 △낙동강 녹조 독 주민의 콧속까지 검출된 책임 △낙동강 보 개방 △녹조 관련 환경피해 대책 마련 △국회 청문회 개최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낙동강부산네트워크도 21일 부산시청 앞에서 ‘정부의 책임 규명 및 녹조 대책 마련을 위한 국회 청문회 요구 5만 명 국민청원’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 시민이 녹조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글·사진=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