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 수수료 무료라더니…“꼼수로 250억 원 벌어”
정무위 강준현 의원 자료
‘수수료 쿠폰’ 등록 시 무료 꼼수
가상자산거래소 빗썸이 ‘수수료 전면 무료’ 마케팅을 벌이는 동안에도 전체 거래 중 4분의 1 이상의 거래에서 250억 원의 수수료를 거뒀다. 이용자가 직접 쿠폰을 등록해야 하는 ‘꼼수’ 마케팅 때문이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이 주요 가상자산거래소에서 받은 월별 거래대금·수수료 수익 등 자료에 따르면 빗썸은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250억 원의 수수료 수익을 올렸다.
해당 기간 빗썸 전체 거래대금은 192조 원이다. 2022년 1분기부터 2023년의 실효 수수료율(수수료 수익/거래대금)을 적용하면 전체 거래대금의 약 4분의 1인 52조 원에 수수료가 적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강 의원은 수수료 무료 이벤트 중에도 빗썸이 수익을 거둘 수 있었던 요인은 ‘수수료 쿠폰 등록’ 꼼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용자가 빗썸이 무료로 제공하는 쿠폰을 직접 등록해야만 0% 수수료율이 적용됐다.
빗썸은 해당 쿠폰을 모든 이용자에게 제공하지만, 쿠폰 등록이 이뤄지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수수료가 0.25%로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가장 높은 수준이 적용됐다. 정보격차에 따라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비슷한 기간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은 본인 인증을 완료한 모든 이용자에게 조건 없이 수수료율 0%를 적용했다.
강 의원은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이용자를 위한 건전한 경쟁은 바람직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보 취약계층 등 소비자의 오인과 실수를 유발할 수 있는 소지는 없어야 한다”며 “당국의 모니터링과 시정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eejnghu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