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례 행사된 바가지 요금·암표… 부산불꽃축제 앞두고 또 기승
숙박료 껑충·암표 2배로 거래
지자체 단속 권한 없어 한계
다음 달 9일 오후 7시 열릴 부산불꽃축제를 앞두고 축제 주요 개최 장소인 광안리해수욕장 일대에 숙박업소 바가지 요금과 암표 문제가 다시 고개를 들었다. 매년 반복되는 일로 축제 이미지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지만 제대로 근절되지 않고 있다.
최근 이용자가 많은 한 중고 거래 사이트에 “400만 원으로 예약 수정해 드린다”는 내용과 함께 부산 해운대의 한 호텔 사진이 올라왔다. 숙소 예약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인하니, 해당 객실은 300만 원가량에 이미 예약이 완료된 상태였다. 글쓴이가 100만 원 정도 웃돈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암표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부산불꽃축제를 감상할 수 있는 좌석 두 자리를 40만 원에 판매한다는 게시글도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손쉽게 찾을 수 있었다. 해당 좌석의 정상 가격은 한 좌석당 10만 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숙소는 물론 암표에까지 바가지요금이 판을 치자 시민들도 눈살을 찌푸린다. 수요에 따른 가격 상승을 고려하더라도 선을 한참 넘었다는 반응이 나온다. 실제 지난 16일 부산 수영구청으로 “바가지 상술이 해도 너무하다. 관광 도시 부산을 위해서 어느 정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는 민원도 제기됐다.
지자체도 바가지요금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점을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단속 권한이 없어 대책에는 손을 놓고 있다. 미리 숙박 비용만 고지하면 이를 단속하거나 제지할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축제 시기에 맞춰 숙박 비용을 올리는 이른바 ‘바가지요금’은 매년 반복되고 있다.
다만, 부산시와 (사)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는 28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부산 전역 숙박업소 점검를 펼치기로 했다. 점검은 각 관할 기초 지자체가 맡는데, 부산불꽃축제를 앞두고 전국 각지 방문객이 부산에 몰리는 것을 대비해 바가지요금·위생 상태 등을 점검하기 위한 목적이다. 특히 부산불꽃축제가 열리는 광안리해수욕장 인근의 수영·남·해운대구는 숙박업 단체들과 소통하는 등 더욱더 집중적인 점검이 이뤄질 예정이다.
다만, 축제 주최 측은 암표 문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책이 없다는 입장을 보인다. 특히 암표 단속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판매처에 있다고 선을 그었다. 시 관광정책과 관계자는 “현행법상 암표 문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처리하게 돼 있다. 그래서 시가 단속할 수는 없다”며 “암표 신고가 접수되면 티켓 예매 사이트에서 적법한 절차를 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부산불꽃축제는 축제 시작 전 오후부터 광안리해수욕장 일대에서 공연, 라디오 형태의 토크쇼 등을 진행해 기대감을 높인다. 또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불꽃 연출 회사 초청 △광안대교를 활용한 불꽃 연출 강화 △광안리, 이기대, 동백섬 3포인트 연출 등 축제 2주 전부터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