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소녀상’ 논란 다시 불붙나
시의원, 오동동광장서 3·15해양공원으로
시민단체 “위안부 끌려가기 전 중간 집결지”
약 10년 전 경남 창원시민이 십시일반 성금을 모아 세운 ‘마산 소녀상’의 위치를 두고 뒤늦게 논란이 인다. 최근 창원시의회에서 대중·상징성을 이유로 소녀상 이전을 제안하자 시민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2015년 8월 마산합포구 오동동문화광장에 제막한 오동동 소녀상은 높이 154cm로 청동으로 만들어져 무게는 100kg 정도다. 과거 창원지역일본군위안부추모비건립추진위원회가 지역 시민과 종교단체, 학생 등 5000여 명의 성금(1억 1000만 원)을 모아 일부 시 예산과 함께 제작됐다.
소녀상이 들어선 장소는 일제 강점기 소녀들이 위안부로 끌려가기 전 중간 집결지 역할을 했던 곳이며, 3·15 의거 발상지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는 주변에 술집과 음식점 등이 몰려 유흥가로 변했다. 주변 환경에 따라 문화광장엔 주취자들이 많으며 소녀상은 여러 차례 테러를 당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소녀상을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오동동을 지역구로 둔 서영권 창원시의원은 지난달 25일 5분 발언을 통해 소녀상 이전을 제안했다. 그는 “현재 소녀상이 있는 오동동문화광장은 시민과 관광객이 음식을 즐기고 흥겨운 분위기에서 시간을 보내는 장소라 소녀상 의미를 왜곡할 수 있다”면서 “현재 위치에서 본연의 정신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가치가 축소되거나 오해될 여지는 없는지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상징성이 있으며 민족의 역사적 투쟁을 기념하는 장소로, 3·15해양누리공원 주변 김주열 열사 추모지나 개관을 앞둔 한국민주주의전당으로 옮기는 게 적합하다고 부언했다.
친일매국노 척결과 소녀상지킴이 시민연대는 2일 오후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마산 소녀상’ 이전 논의에 대해 “인권자주평화다짐비(소녀상)가 창원시장과 관계공무원의 것이란 말인가, 함부로 이전을 요구할 수 있는가”라며 목청을 높였다.
이들은 “피해 당사자들이나 관련 단체 의사는 완전 배제한 채 밀실에서 졸속 합의로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을 논의한 매국적 2015한일합의처럼, 소녀상의 주체인 시민들과 한마디 의논도 없이 감히 이전을 요구하는 것은 테러와 다르지 않다”고 했다.
이에 창원시는 우선 시민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오동동과 3·15해양공원 인근 주민들의 의견을 들어봐야 어떤 방침이 설 것 같다. 현재 공청회나 설문조사 등 방법조차 구체화하지 않은 상태”라며 “소녀상에 일부 시 재정도 투입됐지만 시민 성금으로 지어진 조형물이라 무작정 옮기는 것도 어렵고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귀띔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