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반대” “…” 엇갈린 시도지사 반응
박형준·오세훈 시장 “즉각 철회” 촉구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침묵 지켜 논란
민주당 소속 단체장들 일제히 비판
국가를 대혼란에 빠뜨린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놓고 전국 광역자치단체장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여야를 막론하고 상당수 단체장들이 계엄 반대와 철회를 주장하거나 유감을 표명한 반면, 경남과 울산 광역단체장은 침묵을 지키면서 야권과 지역 사회 반발을 초래하기도 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4일 오전 1시께 입장문을 내고 비상계엄의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박 시장은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국민의 피와 땀으로 이룬 것”이라며 “우리 국민이 지켜온 민주주의에 결코 후퇴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페이스북에 “계엄에 반대하고 철회돼야 한다”며 “시장으로서 시민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영환 충북지사 등 대다수 국민의힘 소속 시장·도지사는 계엄 사태가 일단락된 뒤에야 유감을 표해 온도 차를 보였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꼭 그런 방법밖에 없었는지 유감”이라면서도, 비상계엄 선포를 “한밤중의 해프닝”으로 규정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홍남표 창원시장은 이번 사태에 대해 별도의 입장을 밝히지 않고, “민생 안정”을 강조했다. 박 지사는 4일 오전 9시 실국본부장회의를 열고 “국가 비상계엄이 선포되면서 도민들도 많이 놀라셨을 것이라 생각한다”며 “국회 결의에 따라 큰 혼란 없이 계엄령이 해제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김두겸 울산시장 역시 이날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울산시 관계자는 “(비상계엄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따로 낼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소속 광역단체장은 계엄 선포에 일제히 비판 목소리를 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윤 대통령에 대해 “탄핵 대상이 아닌 체포 대상”이라며 강하게 비판했고, 김관영 전북지사와 오영훈 제주지사, 김영록 전남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등도 “반헌법적, 반민주적 계엄 즉시 해제” 등을 주장했다.
한편 박 시장과 안성민 부산시의장은 이날 오후 3시 부산시청에서 회동을 갖고 이번 사태 후폭풍 최소화와 민생 회복 대책을 검토했다. 이들은 "충격과 혼란에도 불구하고 시민들께서 차분한 일상을 이어가며 우리 사회가 얼마나 성숙한 민주사회인지 보여주고 있다"면서 "부산시와 부산시의회는 정국이 안정될 때까지 흔들림 없이 민생을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 ,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