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더욱 미궁”… ‘국정 수습’ 공동담화에도 부산시민 불안 가중
한덕수 국무총리와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8일 오전 비상 계엄 사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과 정국 수습방향을 담은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지만 시민들은 당분간 혼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내다 봤다. 대부분의 시민들은 담화 내용의 구체성이 떨어지는 데다, 윤 대통령이 사실상 ‘식물 대통령’과 다름없는 상황을 실제로 받아들일 지 미지수라는 반응을 보였다.
8일 담화를 접한 부산 시민들은 향후 국정 혼란이 더욱 커질 것이란 반응을 나타냈다.
사하구에 거주하는 30대 김 모 씨는 “상황이 더욱 미궁 속으로 가는 것 같다”며 “여당에서 책임을 지겠다고 발표한 것도 야당 입장에서는 일방적이라고 보는 등 의견이 팽팽하게 평행선을 달리는 것 같다. 앞으로 정국이 더 소용돌이에 빠질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라고 말했다.
한 대표가 ‘질서 있는 조기 퇴진’이라는 표현을 한 것과 관련, 강서구에 거주하는 60대 박 모 씨는 “구체적인 타임라인도 없고 원론적인 입장만을 밝힌 것 같다”며 “제대로 된 이행이 따라야 최소한의 국민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최일선에서 물러나고 내각 중심으로 구조를 개편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실현 가능성에 의구심을 나타냈다. 연제구에 거주하는 40대 배 모 씨는 “일단 국민들을 안심시키기 위해서 메시지를 내놓은 것 같은데, 윤 대통령이 저 내용을 그대로 수용했을 지 믿을 수 있느냐”라며 “실제 여당이 밝힌 이행방안에서도 이견이 없을지, 시간이 지나면 문제점이 없을 지를 두고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서면에서는 오후 7시부터 지역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윤석열 정권 퇴진 비상부산행동’이 부산시민대회를 개최한다. 전날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열린 집회에서는 주최 측 추산 1만 여 명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에 대한 퇴진 요구가 나날이 거세지면서 앞으로 더욱 많은 인원이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