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 선정 놓고 지역사회 “신속·영향력 고려”
신청사 건립 입지 용역…10여 곳 거론
“복합도시 건설 위해 용현행정타운 적정”
계엄 여파 우려…절차 신속히 진행돼야
경남 사천시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 선정을 위한 용역이 진행 중인 가운데 신속한 입지 선정과 지역 영향력을 고려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천시지도자회는 10일 사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 관련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들은 “5월 27일 우주항공청 개청 이후 지역 숙원사업인 대학교 설립과 남부내륙철도 우주항공선 논의, 우주항공기업 이전 소식 등이 들려오고 있다”면서 “인구 12만 명의 작은 기초지자체가 눈부신 변화를 앞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들은 “우리나라가 우주항공 5대 강국으로 도약을 위해선 우주항공 관련 산·학·연·관이 집적되고 자족 기능을 가진 ‘우주항공복합도시’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며 “전제조건인 우주항공청이 그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곳에 들어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토연구원이 신청사 건립 입지 선정을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인 가운데 신청사 부지로는 현재 사천시 용현면 용현택지개발지구, 용현면 사이언스파크 부지, 사천읍 선인공공주택지구 등 10여 곳이 거론되고 있다.
사천지도자회는 “사천시청과 다수의 행정기관이 이미 집적된 ‘용현행정타운’에 우주항공청이 위치하기를 강력히 요구한다”면서 “산·학·연·관 등이 집적된 이러한 생태계가 형성돼야 무한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목적이나 지역이기주의에 내몰려 우리 시의 경계 지점에 근접한 곳에 우주항공청의 입지가 결정된다면 우리 시민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 중요한 사안에 결코 정치적 수단이나 지역이기주의가 개입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한, 이번 비상계엄 선포·해제 사태로 인해 신청사 입지 선정이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우주 시대 경쟁은 하루가 다르게 치열해지고 있다. 우리에겐 시간이 없다. 따라서 우주항공청 신청사 건립 절차를 즉각 시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주항공청의 애초 계획은 이달 중 우주항공청입지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입지를 선정하는 것이었다. 이어 내년 2월에는 과기부 등에 청사 수급·관리계획안을 제출하며, 2026년 12월까지 실시설계에 나선다. 2027년부터는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 2030년 하반기에는 신청사에서 업무를 보는 것으로 정해졌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