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시장 철거 본격화, 고등어 위판 영향 주려나
사전 작업 끝나 탱크 해체 시작
고등어 성수기 겹쳐 피해 우려
공간 부족 해결책 찾기 어려워
속도 조절·철거 중단 등도 고려
부산공동어시장(이하 어시장)이 현대화 사업을 위한 철거 작업에 본격 착수했지만, 고등어 성어기와 일정이 겹치며 위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어시장은 전국 고등어 80%를 처리하는 만큼 일단 유류 탱크와 일부 시설만 철거해 업무 차질을 최소화한다는 게 계획이다.
어시장은 지난 9일 오전 10시부터 포크레인 등 중장비를 동원해 별관 뒤편 유류 탱크부터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고 10일 밝혔다. 1단계 철거는 지난 10월 30일부터 착공한 상태지만 공사 안내, 배관 제거, 안전 가림막 설치 등 사전 작업이 먼저 진행됐다. 어시장 관계자는 “담벼락과 유류 탱크 등 어시장 시설을 제대로 부수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유류 탱크 철거는 어시장 현대화가 추진된 지 12년 만에 진행된 가시적인 공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만일 올해도 착공하지 못했다면 기획재정부의 사업 재검토 지시로 사업 자체가 무산될 판이었다. 1단계 철거 대상은 유류 탱크를 포함해 돌제(바다로 돌출된 둑 구조물) 1기 위판장(8346㎡), 본 위판장(2522㎡), 본관 일부(2066㎡), 신관(3398㎡) 등이다. 기간은 내년 2월 26일까지다.
문제는 공사 기간이 고등어 성수기와 정확히 겹친다는 점이다. 어시장은 전국 고등어의 80%를 위판한다. 고등어 성수기는 10월에서 이듬해 2월까지다. 특히 1~2월은 위판량이 정점에 달한다. 유류 탱크는 이미 사용하지 않는 시설로 업무와 무관하다. 하지만 돌제와 위판장이 철거되면 위판 공간이 줄어들어 업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어시장은 안쪽 위판장과 돌제 2기가 디귿(ㄷ) 자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다. 고등어가 적게 잡히는 시기에는 위판장 일부와 한쪽 돌제만 사용해도 업무에 지장이 없다. 하지만 성수기 때는 안쪽 위판장과 돌제 2기를 모두 사용한다.
이 때문에 선사와 중도매인은 철거 공사가 위판 공간 부족으로 이어지는 것을 우려한다. 한 수산업 관계자는 “성수기에는 하루에만 5~6만 상자(한 상자당 약 20kg)의 고등어를 위판해야 해서 어시장 내 돌제와 위판 시설을 거의 전부 사용한다“면서 “고등어 상자를 2~3단으로 쌓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직원들 임금 문제와 연결되어 있어 민감하다. 유류 탱크 철거는 큰 문제가 없지만 이후 위판장은 어떤 조치를 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고등어 위판량이 최고조에 달하는 극성수기에는 공사 속도를 조절하며 위판 업무에 차질이 없게 하겠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원래 본공사가 내년 3월 시작 예정이라 철거 기한을 내년 2월 26일로 정했지만, 첫 공고 유찰로 본공사 착공이 지연되면서 철거 기한에 다소 여유가 생겼다”며 “철거 자체는 오래 걸리지 않는다. 극성수기인 1~2월에는 공사 속도를 조절하고, 필요시 작업을 중단해 위판 업무에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시 건설본부는 지난 10월 25일 어시장 현대화 사업 본공사를 조달청 나라장터에 입찰 공고했으나, 참여업체가 없어 유찰됐다. 시는 이달 중 공사 기간(39개월) 등을 조정해 재공고할 계획이다. 시공업체가 선정되면 내년 4월 말 본공사 착수,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