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공항 활성화 나선 국토부, 정작 에어부산은 배제되나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항공운송 경쟁력 제고안’ 발표
거점 항공사 중심 활성화 방안
에어부산, 육성정책 배제될 수도

부산 김해국제공항 활주로에서 이륙하는 에어부산 항공기. 부산일보DB 부산 김해국제공항 활주로에서 이륙하는 에어부산 항공기. 부산일보DB

국토교통부가 지역별 거점 항공사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인센티브 방안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하는 등 지방공항 활성화에 나섰다. 하지만 에어부산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에 따른 통합 저비용항공사(LCC) 대상에 포함되면서 지원 대상에서 배제될 우려가 크다.


국토부는 11일 ‘항공운송 산업경쟁력 제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12일 주식취득이 이뤄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등 환경변화에 따라 항공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제고방안은 △국제선 네트워크 강화 △환승객 확대 등 인천공항 경쟁력 강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공항 활성화 등 6개 안으로 구성됐다.

국토부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공항 활성화와 관련해 지방공항별 거점 항공사 육성 차원에서 내년 상반기 연구용역을 실시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거점공항이라는 말은 법적인 용어는 아니어서 딱히 정립된 표준이 없다”며 “거점 항공사 기준을 만들고 운수권·슬롯 우선 배분 등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외 주요 공항에서도 운항 비중이 높은 거점 항공사를 중심으로 공항이 활성화되는 사례가 많아 거점 항공사를 중심으로 각 지역 공항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거점항공사 기준에는 항공사 주소지·본사 위치나 해당공항에서의 거점항공사 운항 비중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함께 국토부는 부산~자카르타, 청주~발리 등의 노선 외에도 향후 유럽·서남아 등 중장거리 노선을 대상으로 지방공항 전용 운수권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중으로 우리 국민의 이동 수요가 많은 호주·아일랜드 등과 항공회담을 개최해 운수권 증대를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에어부산은 대한항공·아시아나 기업결합 이후 진에어·에어서울과 함께 통합 LCC에 포함돼 수년 내 지역 거점 항공사로서 정체성을 잃을 우려가 크다. 국토부에서 추진하는 지방공항별 거점 항공사 육성 지원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에 지역사회에선 부산시에서 추진 중인 독립법인 운영·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분리매각 운동 등이 다각도로 진행되는 만큼 국토부가 지역 거점 항공사 존치를 위한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