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가장 많이 오른 외식은 김밥·자장면·비빔밥 순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포털 ‘참가격’ 조사
김밥 3323원에서 3500원 5.3% 상승해
수입물가 올라 내년에도 상승기조 전망돼

올해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김밥과 자장면, 비빔밥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투데이 올해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김밥과 자장면, 비빔밥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투데이

올해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김밥과 자장면, 비빔밥인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대중적인 외식메뉴가 가장 많이 오른 것이다.

15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올해 1∼11월 소비자 선호 8개 외식 메뉴의 서울 평균 가격 상승률은 4.0%였다.

메뉴별로 보면 김밥이 올해 1월 3323원에서 11월 3500원으로 5.3% 올라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또 이 기간 동안 자장면은 7069원→7423원으로, 비빔밥은 1만 654원→1만 1192원으로 5.0% 각각 올랐다.

이와 함께 냉면은 1만 1385원→1만 1923원으로 4.7% 올랐고 칼국수는 9038원→9385원 3.8% 상승했다.

외식으로 삼겹살(200g)을 먹을 때는 1만 9429원→2만83원으로 3.4% 올랐다.

이밖에 삼계탕은 1만 6846원에서 1만 7629원으로 2.5% 올랐고 김치찌개백반은 8000원에서 8192원으로 2.4%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덜했다.

이에 따라 삼겹살(200g)은 올해 5월 서울 기준 처음으로 2만원 시대를 열었고, 삼계탕도 지난 7월 1만 7000원 문턱을 넘었다.

이러한 상승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원·달러 환율이 크게 오르면서 수입 물가가 불안해진 것도 주요 원인이다. 수입 물가가 상승하면 해외에서 들여오는 밀가루 설탕 고기류 등 각종 식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시차를 두고 외식 물가를 밀어 올린다.

외식 물가 외에 세탁, 숙박(여관), 이·미용, 목욕 등 주요 5개 개인서비스요금도 올 한 해 일제히 상승했다.

업종별로 보면 서울 기준 미용실 요금(성인 여성 커트)이 지난 1월 2만 1615원에서 11월 2만 2923원으로 6.1%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중탕 요금은 1만 154원에서 1만 538원으로 3.8% 올랐고 숙박(여관)은 5만 1231원에서 5만 2423원으로 2.3% 상승했다.

세탁(신사복 드라이클리닝 9308원→9462원)과 남성 커트(1만 2308원→1만 2538원) 상승률은 각각 1.7%, 1.9%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