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심판 앞둔 윤, 검찰 소환 통보
체포·압수수색 등 압박 지속
내란죄 혐의 수사도 대응해야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직무가 정지된 윤석열 대통령이 이젠 수사와 탄핵심판이라는 큰 산을 만났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날 때까지 대통령 지위는 유지되지만, 권한은 모두 사라졌고 수사기관은 윤 대통령의 신병 확보에 나서겠다며 압박해 오고 있다.
윤 대통령은 15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 머물며 향후 대응 방안을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관저에서 탄핵안 통과 상황을 지켜본 윤 대통령은 직무가 정지되기 직전 마지막으로 내놓은 대국민 담화에서 “저는 지금 잠시 멈춰 서지만 지난 2년 반 국민과 함께 걸어 온 미래를 향한 여정은 결코 멈춰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는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면서 “저를 향한 질책, 격려와 성원을 모두 마음에 품고 마지막 순간까지 국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마주한 현실은 너무나 가혹하다. 2016년 12월 박근혜 당시 대통령은 탄핵안 가결 직후 국무회의를 열어 국정 과제 이행을 당부하며 국무위원들과 작별 인사를 나눴다. 반면 윤 대통령은 그런 기회조차 가질 수 없었다. 비상 계엄 선포 과정에서 국무위원들에 대한 사법 처리 요구가 거센 상황이어서 윤 대통령이 마지막 국무회의를 주재하더라도 이들이 참석할지 여부가 불투명했기 때문이다.
직무 정지에 따라 대통령실 참모들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거나 업무와 관련된 지시를 내릴 수도 없다. 소수의 측근 참모들과 비공식 접촉은 할 수 있지만 대통령실과 관저가 멀리 떨어져 있어 동선 노출에 따른 위험 부담 때문에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 과거 청와대를 집무실로 쓰던 때는 직무가 정지되더라도 관저가 청와대 내에 있어 참모들이 은밀하게 드나들 수 있었다.
검찰과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회를 통과한 특검이 출범하면 윤 대통령을 겨냥한 수사의 강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윤 대통령은 탄핵심판을 준비하고 내란죄 수사에도 대응해야 하는 만큼, 법률대리인단 구성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윤 대통령은 15일 검찰의 소환 통보에 불응했다. 검찰은 조만간 2차 소환 통보를 할 예정이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