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도 경제안보 강화… 국내 수출기업 대책 시급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연임 성공 폰데어라이엔 위원장
트럼프에 맞서 ‘바이 유러피안’
중국 견제 과정서 불똥 튈 우려
“이차전지 분야는 기회될 수도”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AFP연합뉴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AFP연합뉴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가 강화될 전망인 가운데 이달 출범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2기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도 유사 정책을 예고하고 있어 국내 기업의 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8일 발간한 ‘폰데어라이엔 집권 2기 EU 통상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연임에 성공한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이 이끄는 2기 EU 집행위는 산업 경쟁력 및 경제안보 강화를 기조로 삼을 전망이다. 이는 경제위축, 정치적 동력 약화, 대외경쟁 심화, 미국의 트럼프 재집권 등 도전에 맞서기 위한 것으로, 1기 EU 집행위가 환경·인권 등 가치를 중심으로 통상정책을 추진했던 것과는 다소 상반된 동향이다.

보고서는 2기 EU 집행위가 기존의 ‘그린딜’ 정책을 ‘청정 산업딜’로 전환해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면서도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바이 유러피안’ 정책을 통해 공공조달에서 역내 제품을 우선 구매토록 하고, 자동차·풍력 산업에서 친환경 철강 사용 요건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을 견제하고 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반덤핑·상계관세 등 수입규제, 역외보조금 규정 도입, 수출통제 및 투자제한 조치 등 정책을 펼 가능성도 높다고 봤다. 보고서는 EU가 강경한 대 중국 견제 기조를 견지하겠지만, 여전히 EU의 대중 무역·투자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미국처럼 고율의 관세 부과를 검토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오히려 EU의 중국 기업 제재에 따른 국내 기업의 간접 영향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지난 7월 EU가 반덤핑 조사를 개시한 에폭시수지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중국의 공급 과잉으로 피해를 본 현지 기업이 중국뿐 아니라 한국 기업도 함께 제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아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EU의 친환경 분야 투자 확대는 현지에서 대규모 공장 신·증설을 진행 중인 우리 이차전지 기업 등에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다만, EU가 투자 유인책과 더불어 역내산 원재료·부품 조달 요건도 함께 도입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만큼 진출 기업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무역협회는 이날 통상환경 변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지속성장지원실을 신설하는 등의 조직 개편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무협은 이번 조직 개편이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통상환경 변화에 대비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협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신통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성장지원실’을 신설해 환경·노동 등 통상 이슈에 대한 정보와 컨설팅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기존 신무역전략실 산하에 전담 연구조직인 ‘그린·공급망 파트’를 설치해 신통상 의제에 대한 분석과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또 해외시장 개척 강화를 위해 베트남 하노이와 브라질 상파울루,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 각각 신규 사무소를 설치한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