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평균 속도 1Gbps 돌파…KT, 부산서 가장 빨라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과기정통부, 올해 통신품질평가 결과 공개
5G·LTE, KTX·SRT 구간에선 모두 품질 미흡

휴대폰 대리점에 기존 이동통신 3사의 로고 간판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휴대폰 대리점에 기존 이동통신 3사의 로고 간판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올해 국내 통신사가 제공한 5G 서비스 품질 평가 결과 부산에서 가장 빠른 이동통신사는 KT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에서 1위 SK텔레콤과 격차를 줄인 KT는 부산 뿐 아니라 이용자가 많은 서울 등 대도시와 주요 시설 내 품질에서 1위를 기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올해 통신 품질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매년 말 무선 인터넷(5G, LTE, 3G, 와이파이)과 유선 인터넷(100Mbps급, 500Mbps급, 1Gbps급, 10Gbps급) 등 통신 서비스 품질을 측정해 발표하고 있다.

올해 5G 품질 평가 결과 다운로드 기준 전송속도는 3사 평균 1025.52Mbps로 지난해보다 9.2% 개선됐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이 1064.54Mbps, KT 1055.75Mbps, LG유플러스 956.26Mbps 순으로 지난해와 순위 변동은 없었다.

다만 지난해 대비 다운로드 속도가 SK텔레콤 77.00Mbps, KT 106.87Mbps, LG유플러스 75.26Mbps 각각 증가하며 1위 SK텔레콤과 2위 KT 간 격차가 40Mbps가량에서 10Mbps가량으로 좁아졌다.

유형별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옥외(행정동) 962.54Mbps, 주요시설 1087.56Mbps으로 나타났다. 주요시설의 경우 유동인구 밀집지역이 1181.62Mbps, 실내시설 1127.38Mbps, 교통노선 866.03Mbps다.

도시 규모별로는 서울과 부산 등 6대 광역시가 1121.54Mbps(전년 1035.46Mbps), 중소도시 1101.53Mbps(962.07Mbps), 농어촌 645.70Mbps(607.86Mbps)로 전년보다 모두 빨라졌다.

농어촌 지역 중 이통 3사가 공동으로 구축한 공동망 지역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577.03Mbps, 업로드 속도는 60.14Mbps로 나타났다.

17개 권역 중에서는 인천이 평균 1185.65Mbps로 지난해에 이어 가장 빠른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다음으로 서울이 1169.18Mbps, 대구 1135.33Mbps 순이다.

이통 3사 중 SK텔레콤이 1위를 차지한 권역이 10개로 가장 많았지만 대도시의 경우 KT의 약진이 눈에 띈다. KT는 부산, 서울, 대구, 충북, 충남, 경남에서 1위 자리를 꿰찼다. 지난해 SK텔레콤 14개, KT 2개였던 양사의 1위 권역수는 올해 SK텔레콤 10개, KT 6개로 나타났다.

LG유플러스의 경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위 권역은 1곳으로 동일하지만 지역이 강원도에서 인천으로 바뀌었다. 올해는 SK텔레콤이 강원도에서 1위를 했다. 대도시와 중소도시간 차이는 전년에 비해 줄었지만 대도시와 농어촌 지역과의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400개인 품질 평가 지역 가운데 전송 속도 기준(12Mbps) 이하로 전송되는 비율이 10%를 넘어 ‘미흡’으로 평가받은 지역은 통신 3사 모두 KTX·SRT 고속철도 구간이었다. LG유플러스가 12곳으로 가장 많았고 KT 7곳, SK텔레콤 6곳 순이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품질 평가로 확인된 5G 다운로드 속도가 미국, 캐나다, 독일, 노르웨이, 일본 등 해외 주요 7개국 속도를 조사했을 때 가장 빨랐던 노르웨이(584.14Mbps)보다도 약 1.8배 우수해 조사국 중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