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디자인 관리 주체 제각각, 협의체 구성 필요” [부산을 바꾸는 디자인]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 이우영 기자 verdad@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을 바꾸는 디자인] 10. 전문가 대담

시가 정책 키 잡고 방향 제시
지속가능한 조직 체계 갖춰야
관련 용역비 내년 예산 반영
정확한 진단 통해 개선책 마련

본보의 창간 78주년 기획보도 ‘부산을 바꾸는 디자인’ 결산 좌담회가 지난 23일 오후 부산일보사 4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정종회 기자 jjh@ 본보의 창간 78주년 기획보도 ‘부산을 바꾸는 디자인’ 결산 좌담회가 지난 23일 오후 부산일보사 4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정종회 기자 jjh@

“공공디자인 관리 주체가 16개 구·군별로 제각각이고, 부산시 안에서도 중복되는 경향이 있다. 〈부산일보〉 창간기획 ‘부산을 바꾸는 디자인’ 보도를 계기로 부산시가 공공디자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운영하면 좋겠다.”


지난 23일 열린 〈부산일보〉 창간 78주년 기획보도 ‘부산을 바꾸는 디자인’ 좌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렇게 입을 모았다. 앞서 본보가 구성한 공공디자인 점검단은 지난 9월 10일 자 부산역 편을 시작으로, 도시철도 1호선 서면역, 부산시민공원, 광안리, 동천, 하단오거리, 온천천·수영강, 서부버스터미널, 도심 배수지까지 넉 달 동안 부산 9곳 주요 현장을 공공디자인 측면에서 점검하고 문제점을 확인했다.

이날 좌담회에는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복조 의원,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성현달 의원, 부산시 미래디자인본부 김유진 본부장, 부산디자인진흥원 강필현 원장, 동서대 디자인대학 환경디자인전공 박부미 교수, 동남권디자인산업협회 박영심 이사, 시민대표 최진영 씨가 참석했다.

성현달 시의원은 “부산이 제2의 도시라고는 하지만 공공디자인 측면에서 보면 관리 주체가 16개 구·군인 ‘따로국밥’”이라면서 “제각각 따로 노는 주체를 하나로 모아서 협의체를 구성하고 시가 주체가 되어 제대로 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앞선 9번의 부산 현장 점검에서 관리 주체가 여러 곳인 부산역, 동천, 온천천·수영강 등에서 중구난방 공공디자인 탓에 중요한 정보를 시민에게 전달하지 못하고, 도심 미관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예를 들어 동천의 경우 구역별로 남구, 동구, 부산진구가 관리를 맡으면서 덱의 인도 폭이 다르고 디자인도 달라 혼란을 가중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관리 주체의 통일과 함께 부산시가 공공디자인 정책의 키를 잡고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동서대 박부미 교수는 “서울시의 경우 공공디자인을 총괄하는 부시장급 직책이 있어 공공디자인 정책 추진력이 있다”며 “부산시의 경우 올해 미래디자인본부가 생기고 도시디자인담당관이 개방직으로 임명되는 변화가 있었지만, 결국 부산시장이 선장이 되어 공공디자인이라는 큰 배의 방향을 잘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남권디자인산업협회 박영심 이사는 “지역의 공공디자인을 시민과 디자인 전문가가 함께 살펴보는 ‘시민공감디자인단’에 참여했는데 사업을 담당하는 공무원이 6개월 동안 5번이 넘게 바뀌었고, 새로운 담당자에게 지금까지 진행 과정을 설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컸다”며 “지속가능한 체계를 갖추고 공무원의 인식 제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역시 ‘시민공감디자인단’에서 활동했던 시민 대표 최진영 씨는 “실제 주민들이 필요한 공공디자인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가장 중요하고 시가 좀 더 시민의 목소리를 귀담아듣고 개방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본보 기획 취재 현장에 동행했던 부산디자인진흥원 강필현 원장은 해외 사례에 빗대 부산시 공공디자인 정책을 개선할 방안을 제안했다. 강 원장은 “미국 보스턴시의 경우 지방 법규에 따라 디자인 컨설팅 기구에서 승인을 안 해주면 건축물 승인을 받을 수 없다”며 “핀란드 헬싱키시의 경우 ‘디자인 사다리’ 4단계 정책 결정 방식으로 ‘월드 디자인 캐피털(세계 디자인 수도)’이라고 불린다”고 설명했다.

참석자들은 부산시가 글로벌 허브도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허브도시에 걸맞은 디자인 정책과 실행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부산시 미래디자인본부 김유진 본부장은 “〈부산일보〉의 ‘부산을 바꾸는 디자인’, 이기대 아파트 보도를 계기로 부산 213개 경관 자원 디지털화 작업을 시작했고, 야간 경관 가이드라인 기준 등을 세우려 한다”며 “기획 보도로 공공디자인 정책에 대한 지역사회 공감이 확산돼 업무 추진에 큰 힘이 된 만큼 향후 꾸준한 관심과 보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복조 시의원은 “최근 ‘부산시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조례’ 개정안을 발의하는 등 시의회에서도 공공디자인 정책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라면서 “내년 공공디자인 진단 용역비가 예산에 반영된 만큼 정확한 진단을 통해 차차 개선해 나가야 하고 시의회도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 -끝-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 이우영 기자 verdad@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