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딛고 새출발”… 지구촌, 희망 찾아 새해맞이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드니 백만인파 불꽃놀이
독재자 떠난 시리아도 축포
전쟁 중인 가자 눈물 속 새해
유엔 총장 “2025년 새 시작”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가자지구 중앙 데이르 알발라 해변에서 한 팔레스타인 소년이 ‘2025’라는 숫자를 쓰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가자지구 중앙 데이르 알발라 해변에서 한 팔레스타인 소년이 ‘2025’라는 숫자를 쓰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지구촌이 1일(현지 시간) 전쟁과 재난, 정치적 혼란으로 얼룩졌던 2024년을 떠나보내고 새출발을 다짐하며 2025년을 맞이했다.

영국 BBC 방송, AP 통신 등에 따르면, 태평양 섬나라는 키리바시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새해를 맞이했다. 한 시간 뒤 새해를 맞이한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는 도시의 최고층 빌딩인 스카이 타워를 중심으로 대형 불꽃놀이와 조명쇼를 펼치며 새해의 시작을 알렸다. 호주 시드니에서도 시드니항과 오페라하우스, 하버 브리지 주변에 백만명이 넘는 시민이 운집해 불꽃놀이를 즐겼고, 멜버른, 브리즈번 등 다른 도시에서도 축포가 터졌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음력설을 중시하지만, 양력설에도도 곳곳에서 축하 행사가 열렸다. 상하이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강변 산책로 등에 설치된 새해맞이 조명 장식을 감상하러 군중이 몰렸고, 홍콩은 빅토리아 항구에서는 웅장한 불꽃놀이를 선보였다.

한국은 179명이 사망한 제주항공 추락 참사 여파로 새해맞이 행사가 많이 축소됐지만, 서울 보신각 ‘제야의 종’ 행사는 축하공연을 생략한 채 진행됐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펼쳐진 불꽃놀이에는 드론 800대가 등장했다. 스리랑카 콜롬보, 베트남 하노이, 태국 짜오프라야강, 인도 뭄바이,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등 아시아 중요 명소에서도 불꽃놀이 등 축하 행사가 이어졌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은 부르즈 칼리파를 중심으로 1만 5600발의 불꽃을 쏘아 올리는 것과 동시에 화려한 분수쇼와 조명쇼도 선보였다.

반세기 만에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정권의 통치에서 벗어나 새해를 맞은 시리아 국민들은 수도 다마스쿠스 중심부에서 DJ 파티를 열고 축포를 터트리며 새로운 미래를 기대했다.

하지만 전쟁이 계속되고 있는 가자지구는 눈물 속에 새해를 맞았다. 식량과 연료, 의약품의 절대적인 부족 속에 고통받고 있는 가자 주민들은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 협상에 기대를 걸었으나, 협상이 교착에 빠지면서 큰 상심 속에 새해를 시작하게 됐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후 세 번째 새해를 맞은 우크라이나도 암울한 분위기 속에서 새해를 맞았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새해 연설에서 “2025년이 우리의 해가 되길 바란다. 우크라이나의 해이다. 우리는 평화가 우리에게 선물로 주어지지 않을 것을 알지만 러시아를 막고 전쟁을 끝내기 위해 모든 것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리는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고 확신하며,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뿐이다”며 우크라이나에서 싸우는 군대를 격려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신년사에서 2024년에는 희망을 찾기가 너무나 힘들었지만 2025년에는 새로운 시작을 하자고 촉구했다. 그는 “전쟁은 엄청난 고통, 괴로움, 이주를 초래하고 있다. 불평등과 분열이 만연하여 긴장과 불신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함께한다면 우리는 2025년을 새로운 시작으로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