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유사 시 부산 화학공장·포항제철소 공격”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영국 FT, 러 군 기밀문건 입수
2013~2014년 장교들에 교육
亞 서방 동맹 향한 경계심 노출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6월 19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했다. AFP연합뉴스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6월 19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했다. AFP연합뉴스

러시아가 부산 화학공장 등 한국 민간 인프라를 표적으로하는 훈련 계획을 수립한 정황이 있다는 해외 언론 보도가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러시아군 기밀 문서를 입수했다고 밝히면서 여기에는 한국, 일본과 전쟁을 하는 상황을 대비 장교들을 이 같은 방식으로 훈련했다고 전했다.

이 문서에 따르면 러시아는 한국과 일본의 도로, 교량, 공장 등 160곳을 잠재적인 공격 목표물로 설정했다. 그 중 첫 82개 목록에는 이들 국가의 지역 사령부, 레이더 시설, 공군·해군 시설 등 군사 목표물이 나열됐다.

특히 군 시설 외에도 부산의 화학 공장과 포항제철소 등 민간 시설도 타격 목록에 올랐다. 다만 FT는 구체적인 부산의 공장명은 거론하지 않았다. 또한 일본의 경우에도 혼슈·규슈섬을 연결하는 간몬 터널을 비롯한 교통 인프라와 원자력발전소, 정유소 등 전력 시설들이 포함됐다.

이들 목록은 러시아의 Kh-101 순항 미사일의 능력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언급됐다. 문서는 Kh-101을 이용한 가상의 공격이 어떻게 전개될 수 있을지를 거론하며 일본의 오쿠시리토 레이더 기지의 내부 건물들의 사진과 이들의 정확한 치수를 적시한 내용도 포함했다.

이 밖에 러시아가 2014년 2월 24일 한국과 일본의 방공망을 시험하기 위해 Tu-95 폭격기를 출격시켰다는 내용도 문서에 담겼다.

이 문서에는 러시아 군사아카데미 휘장이 새겨진 것으로 전해졌다. FT는 이 문서가 2008~2014년 러시아 동부 국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에 대비해 장교들을 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여전히 러시아의 전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문서에는 러시아 동부 지역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강조돼 있다”며 “러시아의 군 기획자들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와의 전쟁이 발생할 경우 러시아의 동부 국경이 노출돼 미군 자산과 지역 동맹국의 공격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점을 두려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스팀슨 센터의 윌리엄 알버크는 이 문서가 러시아가 아시아에 있는 서방의 동맹국들에 의한 위협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보여준다며 이는 “아시아와 유럽의 전쟁 상황이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것을 다시금 증명한다”고 덧붙였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