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 경기부양책으로 ‘건설투자 확대’ 제안…"건설산업 5조원 투자 시 전 산업 5만 4000명 고용 효과"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연관산업 생산 효과도 5조 1000억 원 예상
“경기침체 회복하려면 건설투자 확대해야"
“공공건설공사 조기 완공·건설투자 조기집행해야”

수도권 아파트 건설 현장. 부산일보DB 수도권 아파트 건설 현장. 부산일보DB
건설투자의 파급효과 요약. 산업연구원 제공 건설투자의 파급효과 요약. 산업연구원 제공

장기불황 및 지속적인 건설경기 침체 속에 탄핵 정국 및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에 따른 대내외 불확실성까지 가중된 가운데,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2025년 새해 시작과 더불어 정부에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건설투자 확대’ 카드를 정책 수단으로 제시하고 나서 주목된다.

‘침체 늪에 빠진 우리 경제의 조기 회복’을 위해서는 ‘해당 산업은 물론, 연관산업 파급효과가 높은 건설투자 확대가 절실하다’는 보고서를 내고, 정부가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건설투자 확대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나선 것이다.

산업연구원은 2일 낸 '건설 활동이 제조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국내 건설산업에 5조 원을 투자할 경우 제조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서 5만 4000명 규모의 고용이 창출되고, 연관산업 생산 효과도 5조 1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산업연구원은 이어 "침체 국면에 빠진 한국 경제가 하루빨리 회복되기 위해서는 연관산업의 파급 효과가 큰 건설 투자의 조기 확대를 통해 건설 경기의 빠른 회복과 (함께) 우리 경제의 활성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산업연구원 제공 산업연구원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산업은 산출액 10억 원당 고용 유발 인원이 10.8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 평균 고용 유발 인원 6.5명보다 1.7배 많은 것이다. 건설 활동 과정에서 철강, 시멘트, 기계·장비 등 연관산업 제품을 다량 사용함으로써 생산 유발 효과도 높다. 건설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2020년 기준 2.017로, 전 산업 평균(1.875)보다 10.5% 높은 수준이었다.

보고서는 "건설산업의 최종 수요가 증가하면 전체 산업의 고용과 생산 증가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건설산업 투자는 건설산업뿐 아니라 연관 업에 대한 고용을 창출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건설투자의 고용 유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건설산업에 대해 5조 원을 투자할 경우 3만 1575명의 건설산업 내 고용이 창출되고, 연관산업의 고용도 2만 2441명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 고용이 6021명 유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서 5만 4000명 규모의 고용이 창출되는 셈이다.

업종별로는 금속제품이 가장 많은 1451명 유발되고, 다음으로 시멘트·콘크리트·점토 1083명, 고무·플라스틱제품 623명, 전자기계 600명, 철강 423명, 일반기계 401명 등 순이었다.

특히, 5조 원 규모의 건설투자는 연관산업 전체에 5조 580억 원 규모의 생산을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제조업 생산 효과는 2조 7970억 원으로 예상된다.


산업연구원 제공 산업연구원 제공

산업연구원은 보고서에서 “경기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해당 산업은 물론 연관산업의 파급 효과가 큰 건설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하남 교산 등 3기 신도시(2027년 입주 예정) 의 조기 조성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2026년 말 완공 예정) 조기 완공 등 공공건설공사의 조기 완공을 위한 건설투자의 조기 집행과 더불어 △입지·건물층수 등과 같은 시공 여건 등을 고려한 공사 단가 현실화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공사비 조정 △시공사에 대한 불합리한 비용 전가와 같은 불공정 관행 개선 등을 통한 건설공사 활성화를 주문했다.

산업연구원은 또 “앞으로 국가 예산이 투입돼 건설 중인 공공공사에 필요한 원자재, 기계·장비 등 중간재의 경우 국산 사용을 확대할 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중앙회 등 중소기업을 대표하는 단체와 건설단체 간의 협력관계 강화를 통해 건설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대규모 물량을 국내 중소기업으로부터 조달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