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디지털금융은 부산 생존을 위한 돌파구 될 것” 이현규 한국디지털금융진흥원장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경대 디지털금융학과 신설
BNK금융·거래소와 인턴십
디지털금융 학위 과정 운영 계획
“청년 일자리·성장 가능성 제공”

한국디지털금융진흥원 이현규 원장은 “디지털금융은 부산 지역 청년들에게 새로운 일자리와 성장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디지털금융진흥원 이현규 원장은 “디지털금융은 부산 지역 청년들에게 새로운 일자리와 성장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폰 보급이 보편화된 시대에 디지털금융을 각종 금융 앱 활용으로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디지털금융은 단순히 전통 금융을 디지털 플랫폼으로 옮기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한국디지털금융진흥원(KDFI) 이현규 원장은 디지털금융의 본질에 대해 “새로운 자산 개념을 창출하는 혁신적인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빅데이터와 같은 첨단 기술이 금융과 결합하면서 기존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가능성과 시장이 열리고 있다는 것이다.

디지털금융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은 기존 금융 시스템이 가지는 중앙 집중화된 구조에서 벗어나, 거래 당사자 간 직접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탈중앙화의 철학을 지녔다. 과거에는 단순히 금, 주식, 부동산과 같은 자산만이 투자 대상으로 여겨졌다면, 디지털금융에서는 게임 아이템, 예술 작품, 심지어 음악 한 곡까지도 투자 대상이 될 수 있다. 토큰증권(STO)와 실물자산토큰(RWA)은 거액의 자본 없이도 고가의 자산 일부를 소유할 수 있도록 실현한다.

이 원장은 “조각 투자는 자산을 분할해 더 많은 사람들이 소액으로도 참여할 수 있게 한다”며 “이는 전통적인 투자 방식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접근이다”고 설명했다.

KDFI는 디지털금융이 가진 가능성을 실현하고 해당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지난해 2월 공식 출범했다. 특히 지난해 국립부경대가 디지털금융학과를 신설한 것과 더불어 이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첫발을 내디딘 것이기도 하다. 이 학과의 교수이기도 한 이 원장은 “부산에 금융이 중심 산업인 만큼, 관련 학과를 설립해 지역 대학이 디지털 금융을 선도하도록 만들었다”며 “학생들이 단순히 지식을 배우는 것을 넘어 실무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KDFI는 디지털금융 생태계 조성과 인재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왔다. BNK금융그룹과 한국거래소 등 지역 내 주요 금융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학생들에게 인턴십 기회를 제공했다. 학생들이 디지털금융에 대한 이론 습득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실무 축적을 목표로 둔 것이다. KDFI는 학술 활동에도 집중했다. 재작년과 작년 두 차례에 걸쳐 디지털 금융 포럼을 개최하며, 디지털 금융의 미래와 관련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KDFI는 올해 디지털 금융 아카데미를 통해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은 현업 전문가를 초빙해 학생들이 실질적인 비즈니스 전략과 산업의 비전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라이즈(RISE) 사업과 연계해 산업체와 대학 간 융합 과정을 신설하고, 디지털 금융 관련 학위 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RISE 사업을 통해 부산 내 대학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융합 과정을 개설하면, 학생들이 보다 전문적인 교육을 받고 디지털금융 생태계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이 디지털금융 중심 도시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이 원장은 “부산에서 다른 산업과는 차별화된 특화된 산업이 필요하다”며 “디지털금융은 부산의 생존을 위한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부산 청년들이 일자리 부족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지털금융이 새로운 일자리와 성장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지털금융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는 규제라는 현실적인 장벽이 있다. 이 원장은 “새로운 시장인 디지털금융을 기존 자본 시장의 잣대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며 “최소한의 가이드라인 속에서 자정적으로 진화할 수 있어야 한다. 지나친 규제는 시장의 잠재력을 억제한다”고 우려했다. 그는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도 강조했는데, STO 법안 같은 핵심 법률의 부재는 시장 활성화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꼽았다.

이 원장은 “부산에서 디지털금융과 관련된 각각의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디지털 금융이라는 큰 생태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거래 시장, 기업, 자금 공급, 감시 시스템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묶어내는 제도와 법률이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